왜 도덕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진환.이수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10월
구판절판


자명한 사실하나는 이 책은 결코 '정의란 무엇인가'를 넘기 위한 또 하나의 확장된 이론을 담고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 책 역시 공동체, 즉 '우리'를 위한 담론을 위한 것이다.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철학적 이슈들을 다루었다면 '왜 도덕인가'에서는 사회적인 이슈들을 다룬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사회 이슈들은 공동체라는 안목을 가질 때 가능하다.

이 책은 3부로 나누어져있다.
1부에서는 도덕이란 무엇인가. 공정한 시민사회를 위하여.. 이곳에서 샌델은 경제,사회,교육,종교,정치적인 도덕에 관하여 논합니다. 5개 주제를 통해 20년 동안의 치열한 이슈였던 문제들, 즉 도박, 낙태, 동성애 등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를 설정한다. 그 답은 역시 공동체의 공동선이다. 자유는 개인이 아니란 공동체의 과계 속에서 규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부에서는 도덕적 가치의 원류를 찾아서라는 제목으로 1부의 주장들을 근거로하는 철학적이고 사색적인 논리들을 찾아간다.

3부에서는 경제체제 속에서 도덕의 문제를 다룬다.



개인주의를 넘어 공동체로의 이전이다.

도덕이란 우리가 힘겹게 배워온 유교적 사고체계가 아니라 서로간의 사회계약이며, 자유의 공간이며, 합리적 사고의 틀이다.

그러나 샌델의 치명적인 허점이 나타난다. 문제의 답은 공동체쉽이 분명하다. 그런데 그것이 가능한가에대한 문제이다. 이기적 존재로 살아가는 인간이 어떻게 공동체를 만들수 있는가에 대한 답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물론 이 책에서 그러나 세세한 답변까지 주기를 불가능해 보인다 할지라도 그 문제는 반드시 답을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공동체를 위한 주장은 탁상공론이 되고 말 것이다.

그러나 도덕이 시민의 중심에 서야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쾌하고 정확한 답을 주었다는 점에서 과연 명강의 답다. 샌델은 레이건을 비판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레이건이 외치는 시민을 배려한 설득력은 국민들의 불평불만을 감지하고 민주당이 실패한 지점에서 성공을 거두도록 해주었다. 그러나 실제로 레이건은 그런 불만의 기저에 놓여있던 상황과 원인들을 거의 아무것도 변화시키지 못했다"(289쪽)

샌델은 또한 절차적 민주주의 이론에 대해 이렇게 경고한다.
"도덕성과 종교를 완전히 배제하는 정치학은 얼마 못가 스스로 환멸에 빠진다. 정치 담론에 도덕적 의의가 결여되어 있다면 보다 큰 의미를 추구하는 공동생활에 대한 동경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으로 표출된다.(295쪽)

즉 샌델의 주장은 도덕이란 단순한 예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고상함을 말하는 것으로, 인간은 고상한 덕의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는 정치나 경제의 토론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은 완전한 합리만을 추구하는 이성적인 존재도 아니고 동물적인 욕망만을 추구하는 존재도 더더욱 아니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인간은 서사적 존재로서 "함께" 하고 싶어한다.

사람이 홀로 산다는 것은 이니 사람이 아니며 사람이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사람은 서로 존재하며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도덕'은 빛을 발하는 것이며, 결국 가장 중요한 핵심적 요소가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