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석 랜선 육아 - 교육 전문가 엄마 9인이 쓴 나홀로 육아 탈출기
온마을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시대의 육아법


교육 전문가도 육아고 전문가일까?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벌써 아이들이 많이 커버린 나에게 ‘육아’라는 낯설고 이질적이다. 하지만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면서 육아를 감당하는 젊은 엄마들의 이야기가 궁금했다. 나의 주변에 30대 초반에 부모가 된 이들도 있지만 마흔이 넘어 뒤늦게 아이를 가져 정신적으로 체력적으로 ‘혼쭐’나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들에게 뭔가를 말해 주고 싶은데, 시대가 변해도 너무 변해 잘못 말하면 꼰대랄까 봐 주저된다. 이 책을 읽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그들의 고민을 알아보고 싶어서이다.


지은이 온마을은 사람 이름이 아니라 밴드 네이버 밴드의 이름이다. 전국에 흩어져 사는 3~40대 엄마들이 어떻게 독박이 아닌 함께 ‘육아’를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만든 밴드이다. 아이를 키우다 보면 ‘나 홀로’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생각이 지배적인 이유는 물리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사람이나 공간이 희소하기 때문이다. 바로 옆집에서 동일한 나이대의 아이를 키우고 있어도 소통하지 않으면 각자도생(各自圖生)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다. 기쁨을 나누면 배가되고 슬픔을 나누면 반이 된다 하지 않았던가. 육아의 힘듦도 나누며 반의반이 된다. 공감의 힘이다. 또한 실제로 정보를 주고받음으로 유용하기도 하다. 


책은 어디를 읽든, 무엇을 읽은 아무 상관 없다. 어느 곳을 읽어도 무방하며 꽤 유용한 내용이 많다. 기획을 잘한 덕분인지 꽤 흥미롭기도 하다. 책은 4부에 나누어 다양한 주제로 연계된다.1부는 ‘나홀로 육아는 힘들어’라는 제목이다. 이곳에서는 모임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이야기한다. 프롤로그의 첫 문장이 가슴을 때린다.


“엄마라서 행복했지만 동시에 늘 억울했다. 아이는 남편과 같이 낳았는데 내 인생만 완전히 달라져 버린 듯했다.”


‘억울’이란 단어가 꽤 가슴을 아프게 한다. 실제로 남자들은 아내들의 육아 고통을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전혀’라고 말하고 싶지만 참는다. 코로나로 인해 문화센터마저 문을 닫다 버린 그야말로 진정한 ‘방구석 육아’가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문제는 ‘남편도 멍청이’(26)라는 점이다. 아이를 보라고 하면 눈으로만 보고 있다. 그러니까 ‘보다(care)’는 ‘보다(see)’로 인식하는 멍청이였다. 육아를 해 보지 않은 아내들을 그제야 남성의 ‘뇌’를 공부하기 시작한다.


“아기를 낳기 전 든든했던 남편은 어디로 간 걸까. 모든 것 다 아는 것 같던, 모든 걸 다 할 수 있을 것 같던 그였건만. 그저 내 눈에 씐 콩깍지였을 뿐일까. 출산 후 어쩔 수 없이 집에 갇혀 사는 동안 유일했던 성인 사람과의 인간관계도 이렇게 무너져 간다.”(27)


남 이야기가 아니다. 오래 전이기 하지만 바로 나의 이야기다. 지금 남편들도 여전하고? 그렇다. 남성들은 변하지 않는다. 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우린 너무 멋진 남성을 TV로만 보아온 탓에 모든 남편들이 다 그럴 것이라는 착각은 금물이다. 그럼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까? 이 책은 그 이후의 이야기를 통해 그 답을 들려준다.


어떻게 만날까? 혼자는 싫지만 만남은 부담스럽다. 사실, 어린 아이를 데리고 어디론가 간다는 것 자체가 고통이다. 이렇게 마음과 마음이 닿은 이들이 만나 온마음을 시작되었다. 만약 랜선 육아 모음이 적합한지를 알고 싶다면 53-54쪽에 있는 테스트를 받아보라. 8점 이상이라면 랜선 육아 모임에 적합하다. 랜선 육아의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진실성이다. 맘카페를 비롯해 육아 블로그 등은 ‘광고와 진짜의 삶 사이’(59) 어딘가에 존재한다. 진의를 가려야 하는 스트레스가 적지 않다. 


온마음이 시작된 세 가지 이유는 ‘외롭다’ ‘궁금하다’ ‘소소한 일상의 공유’이다. 그러니 육아에 대해 ‘막막한’ 이들이 있다면 랜선 육아야 말로 참으로 좋은 모임이 아닐까 싶다. 온마음을 시시하다. 즉 시시한 일상의 공유, 그것이 온마음의 이유이자 목적이다. 


“온마을의 엄마들이 남긴 일상을 통째로, 또 작게 잘라 그림과 함께 여기에 담아 보았다. 모두 온마을을 구성하는 작은 부분이며, 또한 각자 자신들의 평범하지만 소중한 기록이다.”(65)


엄마들이 육아 이야기는 흥미진진 그 자체다. 아마 동영상으로 만들었다면 천만조회는 한 달 안에 돌파할 기세다. 아마도 지금도 육아로 인해 힘들어 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그렇다면 온마을과 같은 랜선 육아방은 어떤 조건의 사람들이 만들면 좋을까?


조건1. 엄마가 아니라 아이가 동갑, 이왕이면 비슷한 개월 수

조건2. 일상과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사람

조건3. 공통점을 가진 사람

조건4. 육아에 대한 생각이 비슷한 사람


모임은 7-10명이 적당하다.

리더는 성향이 서서히 드러나면 그 때 하기.

자랑은 금물 하여튼 자랑은 금물

속 깊은 이야기는 아껴두기

만남은 신중하게

등등등


하여튼 꽤나 쓸 만한 내용이 많다. 책을 읽고 있으니 이렇게도 살아지는 구나 싶기도 하고, 마지막 이별 이야기는 결론이 안 난 영화를 급하게 마무리하는 것 같은 아쉬움마저 남았다. 홀로 독박 유아가 힘들다면, 누군가 소통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라고 꼭 권하고 싶다.






우리는 모두 내 아이를 희생시키지 않고, 나를 소모하지도 않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그런 육아 모임을 원한다. - P47

랜선 육아 모임은 내가 해 보고, 먹여 보고, 써 보고 진짜 좋은 것들을 추천한다. - P60

우리에게 삶을 담아낼 어휘는 항상 모자라고, 삶은 언제나 말보다 크다는 것. - P78

퍼즐은 소근육 발달에도 도움이 되며 플라스틱 장남감보다 훨씬 친환경적이기도 하다. - P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