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리치들에게 배우는 돈 공부
신진상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찢어지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다. 지금도 여전히 가난하다. 가난을 물려받았고 다시 자녀들에게 물려줄지도 모른다는 압박감이 갈수록 커진다. 그래서일까? 아니면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들이 적어서일까. 하여튼 그렇게 작년부터 ‘돈 공부’를 시작했다. 쓰는데 일가견(一家見)은 있지만 버는 데는 없다. 그러니 당연히 가난할 수밖에. 그렇다고 손 놓고 두고 볼 일은 아니다. 아이들은 점점 크고 나의 나이는 점점 들어간다. 올해는 꽤나 많은 책을 읽었지만 경제 관련 서적은 열권도 되지 않은 것 같다. 사실 돈 공부는 마음뿐이지 통계로 보면 말뿐이다. 그래도 이번에는 용기 내어 이 책을 선택했고, 눈에 불을 밝히고 읽어 나갔다. 읽기를 참 잘했고, 앞으로 시간이 되는대로 더 읽을 참이다. 이번에 읽으면서 꽤나 마음에 와닿았던, 그리고 유익한 정보들을 추려 보았다.


“돈의 감각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길러진다.”


꽤나 도발적인 표지의 문구는 이 책의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문장이다. 즉 돈을 벌고 싶으면 돈 공부를 하라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부자들이 가진 마인드, 투자법 등을 배우고 익혀 그대로 따라가 보라는 말이다. 물론 공부해야 할 것들은 많지만 말이다.


주식에 투자하라. 왜냐하면 정부가 주식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서두에 부동산 시장은 철저히 규제하고 주식시장은 지원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니 주식 투자가 전망이 좋다고 말한다. 물론 저자의 말이 모두 옳은 건 아니다. 최근 창원이나 여수 등 지방 도시들의 아파트값이 일주일에 1억씩 오른다는 말이 있다. 대부분의 구입자는 서울 사람들이다. 서울을 규제하니 지방으로 내려와 건물을 사 모으기 시작하니 지방의 아파트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부동산은 정부의 규제 대상이며 언제 정책이 변할지 모른다. 이유야 어떻든 장기적으로 본다면 주식이야말로 가장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다. 이 책이 주식 투자만을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중요하게 다룬다.


돈의 속성, 돈 너는 뭐냐?


부자가 되고 싶다면 두 가지가 필요하다. 하나는 부자를 만들어 주는 ‘돈의 속성을 제대로 배우는 것’과 다른 하나는 ‘그 돈을 불리는 법’이다.(46쪽) 저자는 김승호의 <돈의 속성>을 소개하면서 부자가 되고 싶다면 먼저 돈 공부를 하라고 조언한다. 그런데 돈 공부는 어떻게 할까? 김승호 회장의 말을 직접 들어보자.


“주식을 사놓지 않고 공부하는 것과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공부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 사업을 바라보는 눈 자체가 달라진다. 일단 단 한 주라고 가지면 기업 뉴스나 업게 정보가 눈에 들어오고 경제용어가 저절로 이해된다. 그렇게 1년간 꾸준히 모으기 바란다.”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로 들어가야 하듯 주식에 대해 알려면 주식을 ‘일단은 사라’ 그리고 ‘책 읽기를 병행’(49쪽)해야 한다.


돈은 빚이다. 빚은 신용이다. 그러니 신용이 곧 돈이다. 신용은 다시 인맥과 사회성과 연결된다. 거기에 일반 회계가 아닌 돈 버는 회계를 공부하라 권한다.


“우리는 돈 버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면서도 정작 돈 공부는 하지 않습니다.”(53쪽)


일반 공부가 돈 버는 공부는 따로 있는 것이다. 저자의 돈 버는 방법은 곳곳에 흩어져 있지만 핵심은 돈 버는 책을 읽으라는 것이다. 저자는 책을 통해 충분히 공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소개한 책을 몇 권 소개해 본다.


세계 1%의 슈퍼 부자들의 부의 원칙을 소개한 키스 캐머런 스미스의 『더 리치』을 비롯하여,

선물주는 산타 『선물 주는 산타의 주식 투자 시크릿』

브라운스톤 『부의 확장』 『부의 인문학』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김승호 『돈의 속성』


이명로 『돈의 감각』

사경인 『진짜 부자 가짜 부자』

김광주 『부자들의 습관 버티는기술』

염상훈 『나의 첫 금리 공부』

제프 크라이슬러, 댄 애리얼리 『부의 감각』

웨슬리 그레이, 토비아스 칼라일 『퀀트로 가치 투자하라』

버턴 말킬 『램던 워크 투자 수업』


아직 절반도 소개하지 않았지만 저자는 돈을 벌기 위해서는 ‘공부’ 그것도 독서가 필요하다. 이 부분은 서두에서 강조한다.


“돈 공부는 인터넷 뉴스와 유튜브로도 할 수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활자를 통해서입니다. 책으로 하는 공부는 인터넷으로 할 때 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깊이가 있습니다. 읽으면서 생각하고 정리할 수 있으며, 더 궁금한 점은 인터넷에서 찾아 돈에 대한 어렴풋한 지식을 살아 있는 지식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23쪽)


돈을 벌고 싶다면 정치사회를 읽어라.


저자는 더 나아가 돈을 벌고 싶다면 세계 정치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세계정세를 밝히 안다는 것은 돈의 흐름을 안다는 뜻이다. 최근 일어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경쟁은 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 주식을 팔고 북한 주식을 산 짐 로저스의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물론 모든 상황이 투자자의 뜻대로 흘러가지는 않지만 말이다. 일본 사회를 ‘자기 속박 사회’ ‘배제 사회’ ‘억압 사회’ ‘호족 사회’로 평가한 부분을 놀라웠다. 가슴 아픈 이야기는 한국이 일본을 너무나 닮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전개될 미래


앞으로 사회는 어떻게 진화되고 발달할까? 저자는 AI를 중요한 산업으로 꼽았다. 이 부분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다. AI가 제대로 작동되려면 빅데이터는 필수적이다. 사회학자인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의 『모두 거짓말을 한다』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빅데이터도 거짓을 한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에서 좋아요를 많이 누린 정보가 진보적인 이유는 진보적 성향의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더 많이 하기 때문이다. 물론 구글 검색 성향을 통해 숨겨진 백인들의 이중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두 번째 테마주, 즉 투자처는 ‘바이오 주식’이다. 현재 트럼프 시대가 가고 바이든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벌써부터 바이오 주식이 들썩거린다. 친환경을 위해 내연기관이 줄어드는 것도 그리 멀지 않다. 결국 돈이다.


넷플릭스 또한 코로나 이후 폭발적인 성장을 거두었고 여전히 진행 중이다. 집콕의 영향이기도 하거니와 다양한 콘텐츠를 일정의 돈으로 마음껏 즐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 계정에 4명까지 접속이 가능하다는 것도 매력이다. 넷플릭스도 AI가 작동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아마도 유튜브를 시청한 이들이라면 ‘알고리즘’이 추천한 동영상을 보고 깜짝 놀랄 것이다.


결국 공부다.


조엘 틸링헤스트의 『빅 머니 씽크 스몰』은 앞으로 성공 가능한 기업의 특징을 알려준다. 그곳에 투자하면 앞으로 주가가 오를 것이다. 또 한 권은 『불황의 시대, 미국 주식에서 답을 찾다』이다. 이러한 책들은 앞으로 변화될 상황들을 살핌으로 그와 관련된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결국 돈 공부는 꾸준한 독서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은연중에 말한다. 이 책은 결코 작지 않다. 의외로 많은 정보가 담겨 있고, 특히 주식에 관심이 많은 이들은 주의 깊게 읽을 필요가 있는 중요한 책이다.


함께 읽으면 좋을 책


제이슨 솅커 『코로나 이후의 세계』, 『코로나 이후 불황을 이겨내는 커리어 전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