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 연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빨강 연필 일공일삼 71
신수현 지음, 김성희 그림 / 비룡소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은 돌고 도는 것인가.
민호의 빨간연필이 마지막에선 효주에게로 갔다.
민호에겐 아빠가 없었다. 아빠와 야구하는 친구를, 가족과 함께 동태찌개거리를 사오는 친구 가족이 부러웠다.
효주에게는 집이 어려워 준비물을 챙길 수가 없었다. 가난을 인정하기 싫어서 부주의함으로 그 가난의 자리를 덮으려했다.

민호는 우연히 빨강연필을 가지게 되어서 글을 잘 쓰게 된다.
일기장에 파란도장만 받는 민호가 빨간도장을 받게 되고, 반에서 글을 잘써서 뒷벽에 이달의 글로 뽑혀 붙여지기도 했다.
민호는 불안했다. 자신의 능력이 아니라 빨강연필이 글을 쓴다고 믿었다.
글을 잘써서 주목을 받자 민호는 거짓으로 쓴 글들이 부담으로 다가오기 시작했다.
장차 글짓기 특기생으로 대학을 가고 싶은 재규는 민호가 글을 잘쓰게 되는 것이 못마땅했다.
재규가 민호를 관찰하니 빨강연필만 들면 민호가 글을 잘쓰게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재규는 빨강연필을 훔치게 되고 민호는 빨강연필없이 글짓기 대회에 나가게 된다.

자신과 동떨어진 주제인 ’행복’이 나오자 민호는 자신이 생각하던 내용을 ’고통’이라는 주제로 옮기게 된다. 비록 수상하지는 못했지만, 동화작가 송지아선생님께 연락을 받게 된다.
글의 내용이 와닿았다고 한다. 민호는 전국에서 8명만 수업을 듣는다는 글짓기교실에서 3월부터 수업을 받게 되었다.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내보인다는 것은 아이나 어른이나 모두에게 힘든 것이다.
특히나 아픔이 있는 아이들은 더욱더 그럴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잘못이 아닌 어른들의 잘못으로 아이들에게 아픔이 되고
그 아이들은 아픔을 안고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빨강연필은 아픔이 있는 아이에게 용기를 준 매개체였다.
민호는 엄마가 작가를 꿈꿀만큼 책과 글쓰기를 좋아하였다. 
민호도 책읽기를 좋아했고 비밀일기장에 꾸준히 자신만의 생각을 적어왔다.
빨강연필의 힘으로 숨겨진 재능들이 표출되기 시작했다.
민호에겐 빨강연필과의 만남이 터닝포인트가 되었다.

마지막에 나온 효주에겐 빨강연필이 어떠한 재능을 찾아주었을까.
딸아이가 이 책을 이해할 정도가 되면 같이 이야기해보고픈 주제였다.

빨강연필, 나도 어렸을 때 만났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