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급생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신경립 옮김 / 창해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이 책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초기작이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작품들에 비해 많이 실망스러운 작품이었다. 히가시노 게이고식의 아! 하고 탄성을 내지르게 하는 그런 것은 없었지만, 사건의 진실을 찾는 과정에서의 흡입력이나 흥미도에 대해선 나무랄데 없는 작품이었음엔 틀림이 없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은 두가지 분류로 나누어진다. 범인이 처음부터 드러나 있거나 꽁꽁 숨어있거나..

 

이 작품은 유키코가 죽었을 때 범인이 처음부터 드러나있었다고 봐야한다. 하지만 동급생에서는 범인을 찾는 것에 중점을 둔 게 아니라 왜 그랬을까에 더 중점을 둔 책인 것 같다. 두번째 죽음인 사감 미사키가 죽었을 때 처음엔 그녀를 죽인 범인이 누구인지 밝혀내려고 했다. 하지만 막바지로 갈 수록 미사키는 왜 그렇게 되었을까, 왜 그랬을까로 범인에만 몰두하고 있던 우리의 생각을 분산시키기에 충분했다.

 

 

 

아직 내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을 다 읽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이제까지 읽은 책 중 고등학생이 주인공인 경우는 없었다. [백야행에서 시간의 흐름으로 고등학생이 된 경우는 별개겠지만..] 이 작품인 '동급생'은 추리소설인 반면에 성장소설의 느낌이 녹아있다는 느낌이었다. 반항기와 함께 찾아오는 사춘기..  이 책 주인공의 시기이기 때문에 감출 수 밖에 없었던 우리가 알 수 없었던 하나의 거짓말. 그 거짓말을 진작에 알았다면 사건의 진상에 근접하기가 한결 수월했을터였다. 하지만 그는, 또 그들은 10대이기에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럴 수 밖에 없었겠구나 하며 고개를 끄덕끄덕 거리게 만드는 그 거짓말이 결코 밉지만은 않았다.

 

 

또한, 히가시노 게이고는 사랑을 전제로 추리를 해나가는 작품이 많은 편이다. 이 작품 역시 사랑이 전제로 깔려져 있다. 이런 점을 볼 땐 히가시노 게이고는 냉철하고 분석적이지만, 가슴 한 켠에 낭만을 꿈꾸고 있는 건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보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 책을 쓸 때 너무 고생해서 처음으로 후기를 남긴다며 뒤에 작가 후기라는 것을 남겼다. 책쓰느라 그 이유 하나만으로 힘들었던 건 아니었던 것 같다. 난 어느 책이든지간에 작가의 경험이나 사상이 들어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책을 읽는다. 이 책은 히가시노 게이고의 학창시절의 경험이 조금은 개입된건 아닐까? 하는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