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는 서늘하기보다 차가운 바람이 분다고 해야겠지요. 가을이 깊어가고 시월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마지막 날이네요). 십일월도 가을인데 이상하게 십일월부터 겨울이 시작할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첫눈이 십일월에 와설지도. 아니 십일월은 쓸쓸한 달입니다. 한해 마지막 달 십이월보다. 어쩌면 지금 제 마음 때문일지도 모르겠네요. 시간이 가면 나아질지, 나아지면 좋겠습니다. 언젠가 십일월에 은행잎이 많이 떨어진 길을 걸었는데 그때 기분 별로였습니다. 그런 것을 좋게 여길 수도 있어야 할 텐데, 나무가 나뭇잎을 떨어뜨리는 건 끝이 아니고 다음을 준비하는 거잖아요. 나무는 겨울이라고 해서 쉬지 않습니다. 나무가 잠시라도 쉴 때 있을까요. 우리 몸속 세포나 미생물도 쉬지 않고 움직이죠. 그게 살아있기에 우리가 있는 겁니다. 쓸쓸함에 빠지지 않아야 할 텐데.
이번 악스트는 다른 때보다 두꺼워요. 무엇 때문인가 보니 장편소설이 다섯편이나 실렸더군요. 연재소설도 재미있게 보면 좋을 텐데 앞에 이야기가 생각나지 않을때가 많고 집중도 잘 안 됩니다. 집중 못하는 건 제 탓일지도. 날마다 읽는 건 어떨까요. 저는 읽어본 적 없지만 예전에는 신문에 장편소설이 실리기도 했지요. 지금도 있는지 모르겠군요. 그렇게 했던 건 그때는 문예지가 많지 않아서였을지도. 이제는 사라지는 문예지도 있지만, 예전보다 문예지가 많고 인터넷도 있습니다. 인터넷에 연재하는 건 바로 반응을 알 수 있겠군요. 그게 소설가한테 힘이 될지. 힘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인터넷에서 연재소설을 찾아서 읽은 적은 없지만. 그렇다고 한번도 안 본 건 아니예요. 그건 그것 나름대로 괜찮았습니다. 인터넷 연재여도 날마다 하지 않고 한주에 두번 정도군요. 인터넷에 연재한 게 책으로 나오면 작가는 기쁘겠습니다. 악스트에 실린 장편소설 이야기하다 다른 길로 빠졌군요. 이 정도만 말해야겠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건, 미움이나 복수도 있을 테지만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아서’ 하는 것도 넣고 싶습니다. 모든 사람이 그런 건 아니지만 사람을 자기 마음대로 하려는 사람 있잖아요. 누군가한테 시달리는 사람도 그 사람이 자신을 괴롭히지 않기를 바라겠지요. 피하면 되지만 피할 수 없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장애물을 없애려고 사람을 죽였다 하면 그 사람을 미쳤다 할지도 모르겠네요. 장애물이라 해서 그렇군요. 오래전에 왕은 별거 아닌 걸로 사람을 죽였습니다. 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자꾸 자기 앞에 나타나고 자신을 힘들게 하면 거기에서 벗어나려고 그 사람을 죽이거나 자신을 죽일 것 같습니다. 그렇게 흐르지 않으면 좋을 텐데.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은 자신을 죽이는 겁니다. 그것도 자신이 편하고 싶어서겠지요. 살아서 편해지면 좋겠지만 어려운 일일지도 모르겠네요. 죽고 싶다 생각하는 사람은 그걸 할 수 있는 곳에 가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높은 곳에서 밑을 보면 떨어지고 싶잖아요. 저는 그렇던데. 어쩌면 그건 중력 때문일지도 모르겠군요. 중력이 죽음을 부추기는 건지. 거기에 빠져들지 않으려면 높은 곳에는 가지 않아야 합니다. 다리 위도 마찬가집니다. 높은 곳에 가더라도 밑을 오래 보지 않으면 괜찮겠네요.
앞에서 좀 어두운 말을 했습니다. 악스트 열쇠말이 ‘사람을 해치고 죽이기(살해)’여서. 이것은 추리소설에만 나오는 게 아니기도 하군요. 사람을 해치고 죽이기에는 몸만 들어가지 않습니다. 마음을 죽일 수도 있더군요. 그건 하려고 해서 한 게 아니고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일지도. 폭력은 몸뿐 아니라 마음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말로 하는 폭력도 있지요. 그걸 하는 사람은 당하는 사람이 어떤지 잘 모르는 것 같아요. 폭력은 이어지기도 합니다. 마음을 단단히 먹고 자신은 그러지 않으리라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요. 그런 사람은 대단합니다. 저는 그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폭력은 폭력을 낳고 복수는 복수를 낳을 뿐입니다. 그걸 끊으려 애쓰는 사람이 많으면 좋겠네요.
황정은 소설 중편 <웃는 남자>는 단편 <웃는 남자>와 또 다른 단편 다음이더군요. 하나가 더 있었다니. 저는 단편 <웃는 남자>밖에 못 읽어봤어요. 나중에 세편을 함께 묶은 책을 내도 괜찮겠네요. 황정은은 자신이 첫째여서 동생한테 조금 미안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소설가여서 그런 걸 깨달은 건 아닐까 싶습니다. 소설 읽어도 조금 알겠군요. 첫째는 동생한테 시키는 거 잘하지 않나요. 둘째는 자기 물건에 조금 집착하고. 부모가 아이를 똑같이 대하려 해도 잘 안 될 것 같아요. 어렸을 때는 섭섭하게 생각해도 자라서는 그럴 수도 있겠지 해야겠지요. 세상에 나이를 먹고 철드는 사람 얼마나 될까요.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저 다들 어른인 척하는 거겠지요. 이렇게 생각해도 저한테 어른은 늘 어른입니다.
책이 두껍다 해도 읽다보면 끝납니다. 삶도 그렇군요. 살다보면 끝나겠지요. 나무가 나뭇잎을 떨어뜨려 다음을 준비하는 것처럼 사람 삶도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거겠습니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