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달라졌을지 모르겠지만, 내가 초등학생 때는 4학년이 되면 클럽(동아리)활동을 해야 했다. 그때는 뭣도 모르고 그런 걸 할 수 있단 말이야 하고 좋아했는데. 이제는 그런 거 하고 싶은 사람은 하고 하기 싫은 사람은 안 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내가 4학년 때 한 건 합창부였다. 노래하는 게 좋아서 거기에 들어가기는 했는데, 별로 즐겁지 않았다. 합창부는 클럽활동이 있는 날만 하지 않고 다른 때도 연습했다. 연습 안 하고 가는 아이는 다음 날 선생님한테 혼났다. 초등학교 4학년 때는 내가 하고 싶은 걸 했지만 연습 때문에 싫증났다. 중학교나 고등학교 때는 내가 하고 싶은 건 거의 못했다. 어쩌면 그때 거기에 큰 뜻을 두지 않았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클럽활동으로 못하면 그냥도 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런 건 하지 않았다. 내가 좋아하는 게 뭔지 잘 몰랐던 걸까. 이번에 하려는 말은 자신이 좋아하는 걸 알아야 한다는 말이 아닌데.
초등학교 4학년 때 합창부 하기 싫었던 건 늦게까지 연습해서였다. 어떤 건 날마다 어느 정도 연습해야 잘한다. 초등학생인 내가 그걸 어떻게 알았겠는가. 친구는 집에 가는데 나만 남아 합창 연습을 해야 해서 우울했다. 노래하는 거 좋아했지만 그런 식으로 하고 싶지는 않았다. 즐겁다면 오래 연습하는 것도 좋아할까. 야구 만화 <크게 휘두르며>를 보면 야구라는 운동 쉬운 게 아니다는 걸 알 수 있다. 운동도 연습을 꾸준히 해야 익숙해지고 조금 잘한다. 뭐든 타고난 사람은 조금만 해도 잘하겠지만. 니시우라 고등학교 야구부 아이들은 모두 야구를 좋아하고 늘 이기고 싶다고 했다. 아침 연습도 힘들다 여기지 않고 즐겁게 했다. 뭔가 하려면 그렇게 즐겨야 한다. 초등학교 때 합창부 선생님은 왜 연습하는지 말한 적 없는 것 같다. 그런 걸 학생한테 제대로 말해줬다면 좀더 나았을걸. 그때 나뿐 아니라 거의 다 선생님한테 혼나기 싫어서 연습에 빠지지 않았다.
자신이 좋아하는 거라 해도 늘 즐거운 건 아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힘들고 벽이 나타난다. 그 시간을 잘 견뎌야 한다. 잘 못하면 어떤가. 결과보다 그것을 하는 시간을 즐기면 그것만큼 좋은 건 없다. 힘든 것도 즐기자. 어쩌면 이건 나 스스로한테 하는 말일지도 모르겠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