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짐승의 성 ㅣ 스토리콜렉터 51
혼다 테쓰야 지음, 김윤수 옮김 / 북로드 / 201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을 바탕으로 썼습니다. 그런 소설을 처음 본 건 아니지만 이건 정말 심합니다. 예전에 본 《크리피》(마에카와 유타카)도 생각나는데, 그것과 비슷한 것이 있어요. 그건 사람이 세뇌당하고 조종당한다는 겁니다. 《크리피》에서는 말로 사람을 잘 조종한 것 같기도 한데, 아니 거기에서도 폭력을 쓴 것 같네요. 사람은 폭력을 자꾸 당하다보면 제대로 생각하지 못하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보는 사람은 왜 사람들이 한 남자한테서 벗어나지 못하는지 이상하게 볼 거예요. 저도 그랬습니다. 달아나려고 마음먹으면 그럴 수 있었을 텐데 여기 나오는 사람은 그러지 않았어요. 못했다고 해야겠군요. 고문당하고 돈을 빼앗기고 제대로 살지 못하는 것보다 경찰에 잡히거나 창피를 당하는 게 차라리 나아 보입니다. 고문을 자꾸 당해서 다른 생각을 할 수 없었던 걸까요. 한식구를 집안에 가둬두었으니 혼자만 달아날 수 없었겠습니다. 한사람이라도 달아나서 경찰에 신고했다면 어땠을지.
고다 마야라는 여자아이가 경찰서에 전화하고 자신을 보호해달라고 합니다. 마야는 선코트마치다 맨션 403호에 한해 넘게 갇혀있었고, 그곳에서 우메키 요시오라는 남자와 아쓰코라는 여자가 자신을 학대하고 두사람이 아버지를 죽였다고 합니다. 경찰이 찾아가서 보니 아쓰코도 몸이 안 좋아 보였어요. 마야가 말하는 건 거의 나오지 않고 아쓰코가 말하는 게 주로 나옵니다. 아쓰코는 진짜 이름도 아니고 선코트마치다 맨션 403호 욕실에서는 다섯사람 DNA가 나오고 네사람은 혈연관계가 있었습니다. 이것만으로 거기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기는 어렵겠지요. 이 일과 함께 선코트마치다 맨션에서 가까운 곳에 사는 오코우치 신고와 오구라 세이코 두사람 이야기가 나와요. 두사람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하면서 지켜보았습니다. 신고와 세이코는 결혼은 하지 않았지만 함께 살았어요. 세이코 아버지 나카모토 사부로가 찾아오자 신고는 그 일을 못마땅하게 여깁니다. 사부로가 일도 하지 않고 딸한테 얹혀 살려는 것처럼 보여서 싫었는지. 신고는 사부로를 봤을 때부터 곰이라고 생각했군요. 신고와 세이코가 결혼한 사이였다면 좀 달랐을지, 어쩐지 많이 다르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신고가 사부로를 괜찮게 생각했다면 나았을지, 이것도 잘 모르겠군요.
선코트마치다 맨션 403호에서는 무척 끔찍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마야와 아쓰코는 요시오한테 맞고 고문당했습니다. 마야와 아쓰코(하라다 유키에)는 피해자면서 가해자였어요. 마야 아버지를 시작해 아쓰코 아버지 어머니 언니에 조카까지 죽게 하고 둘은 시체처리도 했습니다. 유키에(아쓰코)가 하는 말만 듣는 것도 끔찍합니다. 너무하다 싶은 건 식구끼리 감시하게 하고 고문하게 한 거예요.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아무리 요시오가 시킨다고 그럴 수 있을까요. 자신이 고문당하지 않으려고 그렇게 한 거군요. 사람은 약하기에 그렇게 되기도 하겠습니다. 경찰은 그런 말을 하는 아쓰코도 이상하게 보인다고 해요. 마치 요시오 혼이 씌인 것 같다고. 나쁜 것은 전염되기도 할까요. 그런 일이 아주 없지 않을지도 모르겠군요. <몬스터>라는 만화에는 괴물을 만드는 게 나와요. 본 지 시간이 좀 지나서 잊어버렸지만. 아이는 늘 맞고 안 좋은 일을 당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아이는 시설 안에 있던 사람을 모두 죽입니다. 생각나는 건 이것뿐인데, 그 아이가 끔찍한 일을 당하고 그렇게 된 것 같아요. 사람을 죽이게 된 거죠. 그 뒤로 아이는 많은 사람을 죽입니다. 마야와 아쓰코도 요시오와 비슷해지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이런 생각 경찰이 했어요.
이렇게 책을 보면 자신은 절대 여기 나오는 사람처럼 하지 않을 거다 생각하겠지요. 저도 그래요. 하지만 끝까지 자기 자신을 지킬 수 있을까요. 세상에는 요시오 같은 사람이 진짜 있을 거예요. 자기 손은 더럽히지 않고 남한테 나쁜 짓을 시키고 그것을 즐기는 사람. 처음에는 무언가 있는 사람처럼 먹잇감한테 다가가서 그 사람 약점을 잡고 돈을 빼앗고 그 사람 둘레 사람까지 끌어들여요. 전 이것을 보면서 조금 이상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돈을 엄청나게 뜯어내고 더 뜯어내려고 하는 게. 요시오는 돈보다 사람을 괴롭히는 걸 즐기는 것 같았어요. 아니 그것도 자기 손으로 하지 않고 다른 사람한테 시켰군요. 요시오는 사람이 망가지는 모습이 재미있었는지도. 사람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사람한테 걸리면 쉽게 벗어나지 못하겠지요. 이런 걸 생각하면 사람이 무섭습니다. 이상한 말에 넘어가지 않도록 조심하면 괜찮겠지만, 속이려고 마음먹은 사람한테는 속을 수밖에 없겠네요.
앞에서 말한 《크리피》에서는 옆집 사람이 바뀌어도 잘 모르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이것도 다르지 않아요. 함께 일하던 사람이 전과 다른 모습인데도 그걸 깊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 사람이 괜찮다 말해서 그랬지만. 남 일에 간섭하고 싶지 않아서 그런 거겠지요. 더 물어봤다면 좋았을 텐데 싶습니다. 제가 지금은 이렇게 말하지만 실제 그런 일이 있다면 무슨 일 있는지 물어볼지 잘 모르겠어요. 저랑 저와 상관있는 사람한테는 그런 일 없기를 바라야겠습니다. 동기가 있어서 사람을 죽이는 사람도 있지만 그런 것 없이도 사람을 죽이는 사람도 있어요. 그런 사람이 더 무섭습니다. 그런 사람이 나타나는 건 세상 때문인지 유전 때문인지. 세상에는 설명할 수 없는 일도 있겠습니다. 그래도 저는 사람은 자라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상해지려는 사람한테 그 사람을 생각하는 사람이 한사람이라도 있다면 좋을 텐데, 그럴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겠군요.
희선
☆―
“부모 얼굴을 보고 싶다는 말이 있어요. 아마 외국에도 비슷한 말이 있을 거예요. 사람은 개개인의 인간성이 그렇게 된 까닭을 그 사람이 어떻게 자랐는지에서 찾는 경향이 있어요. 물론 보통 그렇겠지만 예외도 있어요. 내가 교도소에서 만난 사기꾼이 정말 그랬어요. 뭐 하나 모자란 것 없이 자라고 집도 넉넉했던 것 같은데 부모나 다른 사람한테 애정이 없어요. 사회는 먹잇감으로 넘쳐서 그걸 다 먹어치울 생각이었다고 진지하게 말했어요. 처음에는 센 척한다고 생각했지만, 아무래도 그건 아닌 것 같았어요. 아직 복역 중인데, 할 수 있다면 평생 교도소에서 나오지 못하게 했으면 싶어요. 아니, 내보내서는 안 돼요. 놈들을 교정하고 교육시킬 수는 없어요. 우리 인간들이 할 수 있는 건 놈들과 철저하게 접촉을 피하는 것뿐이에요.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싸울 수밖에 없어요. 같은 인간이라고 방심했다가는 반드시 험한 꼴을 당해요. 녀석들과는 함께 살 수 없어요. 녀석들은 사람이 아니예요. 사나운 짐승이에요.” (35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