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를 연주하는 소년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기일 때나 태어나기 전에 사람은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한다. 엄마 배 속에 있는 아기는 많은 지혜를 갖고 있지만 엄마 배 속에서 나오자마자 그 기억은 사라진다. 이런 말은 어디선가 보았다. 아기일 때는 어른이 볼 수 없는 것을 보고 듣는다고도 한다. 사람은 정말 그럴까. 그런 말 어쩐지 사람을 대단한 것처럼 말하려 하는 것 같다. 천재만이 세상에 인정받고 살아야 하는 건 아니다. 사람은 한사람 한사람 다 평범하고 소중하다. 어떤 사람은 사람은 모두 소중하니 자신과 남을 소중하게 생각해라 하고, 어떤 사람은 모든 사람은 평범하다 하고 자신을 특별하게 여기지 마라 한다. 조금 다른 말 같지만 둘 다 자신뿐 아니라 남을 소중하게 여기라는 말이다. 사람에 따라 좋아하는 말이 있어서 조금 다르게 말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는 칭찬받아야 무언가를 하고, 누군가는 야단맞아야 무언가를 한다. 둘 다 아닌 사람도 있을 것 같다. 하고 싶어야 하는. 그런 사람이 가장 많을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은 히가시노 게이고가 예전에 쓴 것으로 미스터리한 부분도 있지만 그것과 좀 다르게 보인다. 진화를 생각한 걸까, 그러면 과학에 가까운 것일지도. 처음에는 그런 생각 들지 않았는데 반쯤 넘어가니 김영하 소설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잠깐 떠올랐다. 시라카와 미쓰루가 여러 사람을 모으는 것을 보니. 시라카와 미쓰루는 어릴 때부터 남달랐다. 누구보다 색에 민감하고 머리가 아주 좋았다. 미쓰루가 태어났을 때 미쓰루 아버지는 미쓰루가 빛을 내는 것을 보았다. 미쓰루 외증조할아버지는 어렸을 때 똑똑했고 색에 민감해서 염색 일을 했다. 외증조할아버지 이야기는 겨우 이 정도뿐이다. 좀더 썼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이 지금 든다. 자기 아이 머리가 좋으면 좋을까. 다른 아이보다 머리가 좋으면 자랑스럽겠지. 어릴 때는 그래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 되면 부모조차 아이를 감당할 수 없게 되면 어떨까. 미쓰루 엄마 아빠는 미쓰루가 중학생이 되고는 미쓰루와 말하기를 꺼렸다. 심각해질 수도 있었는데 미쓰루가 부모한테 묻기를 그만두었다. 그다음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 하고 책을 보았다.

 

소설 맨 앞에는 여러 사람이 어떤 빛을 보는 모습이 나온다. 그 빛을 내는 게 바로 미쓰루다. 미쓰루가 빛을 내는 것을 아이들은  빛 연주라 했다. 이걸 볼 때 생각난 게 하나 있다. 귀가 들리지 않는 사람한테 음악을 빛으로 보여주는 거다. 빛 연주가 아주 거짓은 아니다는 말이구나. 귀가 들리지 않는 사람은 귀가 들리는 사람과는 다르게 음악을 느끼겠다. 빛을 보고 그게 하는 말을 들을 수 있을까. 실제 그럴 수 있다면 괜찮겠다는 생각이 조금 들었다. 미쓰루가 하는 빛 연주를 본 사람은 그 뒤에 조금 달라진다. 사람들은 빛 연주 때문에 힘과 용기를 얻었다. 그것을 못 보면 좀 이상해졌다. 그때는 빛 연주가 마약 같은 건가보다 했다. 이런 생각을 하고 돈을 벌려는 사람도 있었다. 밑에 사람은 단순하게 돈만 생각했지만, 그걸 시킨 사람은 다른 뜻을 가졌다. 새로운 것이 나타나면 그것을 아주 좋아하는 쪽도 있지만, 그것을 없애려는 쪽도 있다. 세상에 그런 사람이 있어서 사람이 진화하지 못한 걸까.

 

미쓰루와 미쓰루가 하는 빛 연주를 본 사람은 사람한테서 나오는 빛(아우라)을 보고 그 사람 마음이 어떤지 알게 된다. 어디선가도 이것과 비슷한 것을 본 것 같은데 그게 뭐였는지 생각나지 않는다. 미쓰루는 색을 잘 보기도 했지만 머리도 아주 좋았다. 이건 다른 사람과 좀 다른 거 아닐까. 아니 빛이 말하는 걸 어렸을 때부터 알아서 이것저것 더 쉽게 받아들인 것일지도. 사람은 말로 자기 마음을 전하기 힘들어한다. 말로 하지 못하는 것도 아주 많다. 그것을 빛으로 할 수 있다면 편하기는 하겠다. 그러면 말이 없어질지도 모를 일이다. 그게 괜찮은 진화일까. 그건 나도 잘 모르겠다. 난 듣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말해도 상대가 자기 마음을 모를 거다 하기보다 어떤 말로 하면 알아들을지 생각해 보는 것은 어떨까. 사람한테서 나오는 빛을 보고 사람 마음을 알면 편할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되면 그 사람을 알려고 애쓰지 않을 거다. 다른 사람 마음이 보이지 않아도 알려고 하면 다는 아니더라도 조금은 알 수 있다.

 

힘과 돈을 가진 사람은 새로운 것을 싫어한다. 그런 것이 자신을 밑으로 끌어내리리라고 생각한다. 사람에는 오랫동안 이어온 것을 지키려는 쪽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앞으로 나아가려는 쪽이 있다. 둘 다 나쁜 건 아니지만, 서로 자신만이 잘났다 하면 싸움이 일어난다. 둘이 균형을 잘 맞추면 좋을 테데. 서로를 인정하면 어느 한쪽을 아예 없애려 하지 않을 거다. 좀 다른 사람을 이상하게 여기지 않으면 좋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