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은 습관이다 - 부정의 나를 긍정의 나로 바꾸는 힘
박용철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부정의 나를 긍정의 나로 바꾸는 힘’이라는 말 때문에 이 책을 보았습니다. 제가 어느 때는 괜찮은데 그런 마음은 잠시뿐 바로 마음이 가라앉기도 합니다. 부정이 아닌 긍정의 마음을 갖고 싶습니다. 자신한테 안 좋아도 오랫동안 버릇이 들어버리면 고치기 아주 어렵잖아요.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오래된 버릇이라고 해도 고칠 수 없는 것은 아니기도 합니다. 감정도 버릇이라고 하더군요. 긍정의 감정을 가진 사람은 안 좋은 일이 있어도 바로 좋은 감정으로 돌아가고, 부정의 감정을 가진 사람은 좋은 일이 있어도 잠시 시간이 지나면 안 좋은 감정으로 돌아간다는군요. 감정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요. 뇌, 마음. 언젠가 뇌가 우리를 속인다는 말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 책이 있다는 것만 알고 읽어보지는 않았습니다. 여기에도 그런 비슷한 말이 있더군요. ‘뇌는 유쾌하고 행복한 감정이라고 해서 더 좋아하지 않는다. 유쾌한 감정이건 불쾌한 감정이건 익숙한 감정을 좋아한다. 불안하고 불쾌한 감정일지라도 그것이 익숙하다면, 뇌는 그것을 느낄 때 안심한다. (21쪽)’ 즐거운 감정버릇을 가진 사람은 언제나 즐겁고, 우울한 감정버릇을 가진 사람은 늘 우울하다니. 뇌는 마음을 배신하는 것인가 싶기도 하군요. 우울한 사람도 늘 우울하고 싶지 않기도 하잖아요. 낯선 것보다 익숙한 것을 좋아하는 것은 뇌 때문인가봅니다.

 

힘들게 살던 사람이 편해지면 마음이 편하지 않다고도 하잖아요. 지금 이렇게 살아도 괜찮을까, 다시 안 좋은 일이 일어나는 것은 아닐까 걱정을 하는 겁니다. 이것도 그동안 익숙한 감정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이라는군요. 칭찬받는 것보다 혼나서 마음이 편해지는 사람도 있답니다. 믿기 어렵기는 하지만, 아주 믿지 않을 수도 없습니다. 그런 모습을 한번도 못 본 것은 아니니까요. 제가 자주 우울해지는 것도 제 표준감정이 이것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책을 보면서 나는 어떤 감정버릇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생각해보았는데 중간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평소에는 그런 것 같은데 어떤 일이 일어나면 안 좋아질 때가 더 많습니다. 아무래도 안 좋은 쪽인 것 같군요. 안 좋은 일이 일어나면 기분이 안 좋아지고, 좋은 일이 일어나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겠군요. 그런데 저는 안 좋은 일이 아닌데도 기분이 안 좋아진다는 겁니다. 저도 이런 제 마음 때문에 기분이 나쁩니다. 어쨌든 기분이 안 좋을 때는 그 감정이 지나가기를 바랍니다.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더군요. 이렇게 보니 역시 저는 중간인 듯하군요. 안 좋은 쪽에 아주 조금 기운.

 

어떤 사람은 자기한테 별로 도움이 안 되는 사람을 자꾸 만나기도 하잖아요. 이런 것은 텔레비전 드라마 같은 데서 보기도 한 거군요. 그런데 그것도 감정버릇과 같다더군요. 첫눈에 반했다는 사람도 자신한테 버릇이 든 사람을 바로 알아보는 것이라는군요. 다른 사람, 그러니까 자신을 아껴주는 사람을 만나면 편하지 않게 느끼기도 하지요. 그것은 새로운 감정버릇을 들여가는 것이라는군요. 저는 그런 경험은 없지만, 어떤 사람은 자꾸 사기를 당하기도 하잖아요. 그것도 감정버릇 때문이 아닐까 싶군요. 자신도 모르게 그런 사람이 익숙해진 것이지요. 처음부터 사람을 의심할 수는 없고, 남을 속이는 사람이 어떤지는 저도 잘 모르지만 자신한테 편하다고 해서 다 좋지는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고 보니 저는 아주 편하게 여기는 사람이 거의 없군요. 실제 만나는 사람도 거의 없습니다. 대인관계에서 뇌는 친밀감을 채우려고 한다는군요. 친밀감에는 폭식형, 포기형, 거식형이 있는데 저는 폭식형, 포기형이 다 있는 듯합니다. 포기형에 더 가까운 듯. 이런 생각이 들기는 해도 그런가 보다 할 뿐입니다. 바뀌어야 할 텐데 하는 생각을 안 하는 거죠. 이것도 익숙한 감정을 바꾸지 않으려는 거군요. 사실 저는 제가 게을러서 그런 것인가 했습니다. 아니, 게으른 것도 뇌가 그것을 익숙하게 여기기 때문이겠습니다.

 

자신은 어디에 해당하는지 한번 보십시오. 하나도 없는 분도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폭식형에서 만들어지는 대인관계버릇

 

- 상대의 관심을 지나치게 바란다.

- 버림받을 것을 걱정해 자주 애정을 확인하려 한다.

- 상대의 의견에 조건없이 따르고 상대한테 지나치게 의존한다.

- 자신이 결정하지 않고 덮어놓고 상대가 결정해주는 대로 따르고 상대한테 종속되려 한다.  (124쪽)

 

 

포기형에서 만들어지는 대인관계버릇

 

- 자신은 어디에도 잘 어울리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 자신은 남들과 다르다고 생각한다.

- 소외감을 자주 느낀다.

- 남들이 자신에 대해 모두 알면 떠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스스로 모자란 점이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25쪽)

 

 

거식형에서 만들어지는 대인관계버릇

 

- 상대 뜻에 대해 늘 의심하고 믿지 않는다. 아무도 믿으려 하지 않는다.

- 다른 이 생각에는 관심이 없고, 자기 위주의 행동을 한다.

- 사무적이고 일과 관계된 것에만 집중한다.

- 소위 왕자병, 공주병이라고 하는 행동들을 보인다. 곧 남들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만 생각하는 느낌을 준다.  (126~127쪽)

 

 

다음에는 이것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에 대한 말이 있습니다. 공통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지금까지 익숙한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과도 관계를 맺고 그것을 이어갈 수 있게 하라는군요. 그리고 자신을 아껴주는 사람을 곁에 두라는 말도 있습니다. 자기한테 익숙한 사람이 안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그런 사람한테 상처를 받으면 안 좋은 것이지요. 지금까지 자신이 어떤 사람한테 상처를 받았는지 잘 생각해보면 비슷한 사람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한번 잘 생각해보십시오. 그런 것을 생각해도 사람은 알기 어렵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좋은 것은 남한테 기대지 않고 홀로 잘 있는 겁니다. 그리고 많이 기대하지 않기, 자기 자신을 좋아하기. 이런 것은 알고 있어도 잘 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사람이 기쁨과 즐거움을 느낄 때 뇌에서는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나온다고 합니다. 도파민은 짜릿한 쾌감을 느낄 때, 세로토닌은 일상에서 작은 즐거움을 느낄 때. 도파민이 필요없는 것은 아니지만, 세로토닌이 더 자주 나오게 해야 한답니다. 짜릿함은 갈수록 세기가 커져야 느낄 수 있지만, 작은 즐거움은 심심하지만 자주 느낄 수 있고 마음이 편안하잖아요. 세로토닌이 나오게 하는 방법은 걷기, 햇빛쐬기, 고마워하는 마음 갖기, 자연과 함께 하기랍니다. 이것을 한꺼번에 하려면 날씨 좋은 날 둘레 사람들에 대한 고마움을 생각하면서 걷는 것입니다. 어렵지 않지요. 걸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은 세로토닌 때문이었습니다. 이것을 모르고도 했다니 신기합니다. 본래 사람은 자기한테 좋은 게 무엇인지 아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술이나 담배에 빠져드는 사람도 있군요. 이것은 나쁜 감정버릇 때문이겠지요. 스트레스를 술, 담배로 풀지 않아야 한다는군요. 이것보다 안 좋은 것은 마약이겠군요. 자신은 술을 마셔서 스트레스를 푼다고 생각하겠지만 그것은 스트레스를 푸는 게 아니고 긴장을 쭉 지키는 것이랍니다. 안 좋은 버릇은 고치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고칠 수 있다고 합니다. 고치려고 하다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겠군요. 어쩌다 이렇게 흘러갔는지.

 

좋은 감정버릇을 들이는 방법을 보니 명상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그리고 즐겁게 살기 위해서는 애를 많이 써야 한다는 거예요. 뭐든 쉽게 되는 것은 없기는 하군요. 사람마다 느끼는 행복은 다릅니다. 자신이 어떤 때 좋은가를 잘 들여다보는 게 좋겠지요. 아니, 그것보다는 일상에서 느끼는 작은 즐거움을 좋아해야 합니다. 자극이 크지 않은 것으로. 성공하고 크게 좋은 일이 터져야 즐거울 수 있다는 생각은 안 좋습니다. 걱정하는 시간을 정해놓고 하라고 하더군요. 감정수첩에 잠깐 느낀 기쁨과 고마운 일을 적고 자주 들여다보기는 저도 해 보고 싶습니다. 자기 감정을 자주 확인해보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늘 같은 날이지만 다르기도 합니다. 이것을 잊지 않고 긍정의 생각을 하고 자주 웃는다면 좋겠지요. 좋은 일이 없어도 웃으면 기분이 좋아진다잖아요.

 

 

 

희선

 

 

 

 

☆―

 

일상이 지겹고, 사소한 즐거움 따위는 없다고 생각하십니까? 돌아보면 작은 즐거움이 떠오르지 않나요?

 

그저 기다리지만 말고 작은 뜻이라도 주고, 내 삶 속에서 오늘 하루가, 작은 그 일이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되풀이되는 하루라도 돌아보면 작은 즐거움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뜻 없이 되풀이되는 당신 생활이 뜻을 갖게 될 것입니다.  (24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