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딸에 대하여 ㅣ 오늘의 젊은 작가 17
김혜진 지음 / 민음사 / 2017년 9월
평점 :
세상에는 이런저런 사람이 있고, 그 안에는 동성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오래전에는 그걸 법으로 못하게도 했는데 이제는 달라졌다. 그렇게 된 지 오래되지 않았다. 동성을 좋아하는 사람은 옛날에도 있었을 거다. 꼭 자신과 다른 성을 좋아해야 하는 건 아닐 텐데, 사람은 왜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을까. 인류가 잘못 생각한 건 그것만이 아니기는 하구나. 여러 가지를 받아들이게 된 지금이지만, 부모는 그게 자기 자식일 때는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남은 상관없지만 자기 자식은 안 된다 생각하는 사람 많겠지. 부모는 자식이 평범하게 살기를 바란다. 그건 자식을 위해 생각하는 걸까, 부모 마음이 편하려고 그러는 걸까. 남이 어떻게 볼지 생각하는 사람 많겠지. 난 남의 얘기 안 하지만 그걸 즐겁게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사람이 있어서 부모는 자식이 공부 잘하고 대학을 나오고 좋은 일자리를 구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살기를 바라는 거겠지. 이제는 그런 부모만 있는 건 아닐까.
요양 보호사로 일하는 엄마, 대학에서 강의를 다니는 동성애자 딸. 이럴 때 딸이 이야기를 이끌어갈 것 같은데 이 소설은 엄마가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제목이 《딸에 대하여》니 어울린다고 해야겠다. 엄마는 딸이 서른 중반이고 좋아하는 사람이 있고 그 사람과 일곱해 정도를 살았는데도 그걸 받아들이지 못하고 지금이라도 딸이 남자를 만나 결혼하기를 바란다. 엄마는 딸한테 돈을 빌려줄 형편이 안 돼서 집에 들어와 살게 하는데 딸이 함께 살던 레인도 함께 온다. 엄마는 그걸 무척 견디지 못하면서도 받은 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산다. 아니 딸이 함께 살던 레인한테 집을 나가라는 말도 한다. 예전에 본 다른 소설에서도 동성애자가 이름이 아닌 다른 호칭을 쓰던데, 동성애자는 정말 그럴까. 중요한 건 아니지만. 사람 이름은 거의 남이 지어주기는 한다. 어릴 때는 그 이름을 써도 나이를 먹은 다음에 바꾸는 사람도 있다. 누군가 지어준 이름이 있다는 것도 괜찮은 거 아닌가 싶다. 그 사람을 생각한 사람이 있었다는 거니. 아이 이름을 적당이 짓는 사람도 있겠지만.
엄마는 정말 딸이 예전에는 대단한 일을 하고 지금 치매에 걸려 요양원에 있는 젠처럼 되리라 생각한 걸까. 젠은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고 혼자였다. 사람은 치매만 아니면 조금 힘들어도 자기 힘으로 혼자 사는 게 나을 듯하다. 요양원이 여기 나온 것처럼 다 안 좋은 건 아니겠지만. 요양원을 보니 부모 없는 아이를 돌보는 곳이 떠오르기도 했다. 어릴 때는 그런 곳에서 자란 사람이 나이 들고 병든 다음에는 요양원에서 보내면 우울하겠다. 아니 자신은 그것을 모를까. 엄마는 딸이 남 일을 생각하고 시위하는 게 싫었다. 그런데 엄마는 요양원에서 젠을 다른 곳으로 보내려 하자 그걸 막으려 하고 다른 곳으로 옮겼을 때는 집으로 데려온다. 엄마가 인정없는 사람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엄마는 일을 그냥 하지 않고 늘 자랑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했다. 예전에는 그런 사람이 많았는데 지금은 거의 없다. 그런 것에도 좋은 점이 있고 안 좋은 점이 있겠지. 돈만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생각하면 좋겠다.
평범하게 사는 게 가장 어렵다고 한다. 그건 맞는 말이다. 난 딸이 남자와 결혼하고 싸우고 사는 것보다 레인과 함께 조용하게 사는 게 더 낫다고 본다. 딸이 남자와 결혼한다고 꼭 싸우지는 않겠지만. 식구라는 건 여자 남자가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사는 것만 나타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엄마는 딸이 나중에 혼자 쓸쓸하게 죽을 것을 걱정하는 듯하다. 그래서 젠을 집으로 데리고 온 건 아닐까. 젠이 엄마를 만나 잘됐다는 생각이 든다. 엄마가 아니었다면 젠은 지저분한 요양원에서 하루 내내 자다가 숨이 끊어졌을 거다. 젠은 잠시라도 따스한 집에서 지냈다. 피를 나눈 식구가 아니어도 딸과 레인도 그렇게 살 수 있지 않을까(결혼한 부부도 남으로 만났구나). 그래도 엄마는 둘을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아주 희망이 없는 건 아닌 듯하다.
결혼한 두 사람이 헤어지고 남남이 되는 거나 동성인 두 사람이 함께 살다 헤어지는 거나 크게 다르지 않다. 동성애자는 그저 동성을 좋아하는 것일 뿐인데, 이성애자와 아주 다른 사람으로 보는 것 같다. 이것도 바뀌어야 할 텐데. 이 소설에 나온 것처럼 동성애자여서 일을 그만둬야 했던 사람도 있겠다. 세상이 바뀌면 부모가 덜 걱정할지.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