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라의 엽서북 : the FRAME ㅣ 책밥 엽서북 시리즈
김소라 지음 / 책밥 / 2017년 12월
평점 :



언제인지 어쨌든 몇해 전, 벌써 몇해 전이 됐군요. 그때 앨리스 엽서를 샀답니다. 100장이 든. 가끔 문구점에 가면 엽서를 사고는 했는데 이제는 그런 게 잘 나오지 않더군요. 성탄절이 다가올 때 사러 갔던 거군요. 앨리스 엽서를 성탄절에 보내려고 사다니. 아니 그때뿐 아니라 다른 때도 보냈습니다. 그 뒤로 다른 엽서도 여러 가지 사고, 몇달 전에 또 샀습니다. 이건 우연히 알게 됐습니다. 뭐든 다 우연히 알았군요. 우연은 정말 우연일지. 갑자기 이런 생각을 하다니. 제가 본 만화영화에서 우연은 우연이 아니다 말해서. 책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은 우연일 수 없다는 생각이 떠오르기는 했습니다. 책 속에서 일어나는 일은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일이잖아요. 만화영화인데 책이라고 하다니. 원작이 책이어서 그렇습니다. 제가 엽서를 본 것도 일어날 일이었을지도 모르죠.
올해는 편지를 쓰려고 편지지를 사두었습니다. 그 뒤에 바로 모지스 엽서를 알게 되고 다음에는 이 엽서를 알게 됐습니다. 그래도 여기에는 엽서가 서른장밖에 없습니다. 다른 건 백장에 쉰장이 넘기도 하지만. 서른장도 그렇게 적은 건 아니군요. 하루에 한장씩 쓰면 한달 동안 쓸 수 있겠습니다. 부지런히 쓰면 한달에 다 쓸 수도 있겠군요. 그렇게 빨리 쓰지는 않겠네요. 천천히 그림도 보고 쓸까 합니다. 여기에는 김소라가 여기저기 다니면서 그린 그림이 담겼어요. 수채화. 사진도 멋지지만 그림도 멋집니다. 어딘가에 가서 사진이 아닌 그림을 그린다면 그곳이 더 기억에 오래 남겠습니다. 그것도 좋아해야 할 수 있겠지요. 저는 이렇게 생각하는군요. 어딘가에 가서 자신이 즐기고 싶은대로 즐기면 되지 않나 싶습니다. 누군가 하는 말을 듣고 그것도 괜찮겠다 생각하면 되겠지요.
저는 예전부터 친구한테 편지를 썼습니다. 말하는 것보다 편지로 말하는 게 편해서. 그게 지금도 그러네요. 그렇다고 편지를 잘 쓰는 것도 아닙니다. 그냥 보통이에요. 한때는 잘 쓰고 싶다는 생각도 했지만, 지금은 그런 생각보다 자주 써야 할 텐데 하는 생각을 더합니다. 아니 이건 칠월이 오고 한 생각일지도. 쓰다보면 한 말 또 하고 그래서 조금 미안하네요. 밝게 쓰고 싶은데 그러지도 못하고. 그래도 그렇게 쓸 수 있어서 좋기도 합니다. 답장 받는 것도 좋지만 쓰는 걸 더 좋아하는군요. 이건 제가 더 말하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다른 사람이 하는 말 듣고 싶기도 한데. 그건 책으로 많이 듣는군요. 잘 모르는 사람이 하는 말이지만. 책도 편지기도 하죠. 이 말도 처음이 아니네요. 다른 글을 더 많이 쓰면 편지를 쓰지 않게 될까요. 그런 작가도 있는 듯합니다. 아니 꼭 그런 건 아닐 거예요. 예전 작가는 글도 쓰고 편지도 많이 썼잖아요. 지금도 편지 쓰는 작가가 아주 없지 않겠습니다.
엽서를 뜯어서 작은 액자에 넣어도 괜찮겠습니다. 그림을 보면 그곳에 간 듯한 느낌이 들 테니. 자꾸 보다보면 꿈에서 그곳에 갈지도 모르죠. 저도 그런 적은 한번도 없지만. 그런 이야기를 짧게 써 볼까 하는 생각이 지금 들었습니다. 그림 속으로 가서 이런저런 일을 겪는 이야기가 없지는 않지요. 책 속으로 들어가는 것도 다르지 않군요. 저는 읽은 책이 꿈에 나온 적은 별로 없지만 만화영화는 가끔 나오기도 해요. 지금 생각하니 그게 정말이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자꾸 생각해서 꿈을 꿨다 느낀 걸지도. 편지 엽서 이야기하다 이상한 곳으로 빠졌네요. 생각이든 꿈이든 잘 이어지지 않고 여기저기 옮겨가기도 하지요. 생각은 그렇게 해도 그런 책을 보면 뭔가 싶기도 합니다. 그런 것도 잘 보면 좋을 텐데.
지난달까지는 편지 엽서 별로 못 썼지만 이달부터는 써야겠습니다. 엽서를 더 쓰겠네요. 더워서 배달하시는 분 힘드실지도. 그걸 생각하면 여름에는 덜 쓰는 게 낫겠군요. 이런 생각도 들지만 이런저런 요금을 내라는 게 아닌 편지를 배달하면 좀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러니 써야겠네요. 우체통도 배가 덜 고프게.
희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