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년을 붙잡고 천천히 읽은 책이다.

여러 재판들, 법원의 모습들을 알 수 있었다. 확실히 서민의 삶과 맞닿은 재판들을 볼 때 몰입이 훨 잘 됐다. 그래서 뒤로 갈수록 읽는 속도가 느려진 듯하다. 그렇지만 한 권을 다 떼니 기분이 좋다. 뭐라도 머릿속에 남겨두고자 접어둔 페이지를 정리해본다.

- 엄벌주의에 비해 범죄율을 낮추는 데 보다 효과적인 것은 오히려 ‘필벌주의’일지 모른다. 그러나 이는 양날의 검이다. 완벽한 통제가 불가능할 뿐더러 완벽한 통제로 인한 시민의 고통이 훨씬 클 수 있기 때문이다.
데스노트와 같은 만화적 상상력은 필벌주의, 엄벌주의로 손쉽게 범죄 없는 행복한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러는 상상에 기반을 둔다. 하지만 만화의 결말도 그렇듯 인간사는 그리 단순 명쾌하지는 못한 것 같다.

- 물질적인 부가 인간의 가치까지 결정해버리는 사회 분위기속에서 사람들은 부의 피라미드 위로 올라가기만을 희망합니다.
아파트 평수 늘리기, 서울의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한 걸음씩 이사가기, 자동차 배기량 늘리기가 한 인간의 자아성장인 시대.
그나마 다들 조금씩이라도 사다리 위로 올라갈 수 있는 고속 성장기에는 마약처럼 그 가속도에 취해 버티지만, 그 속도가더뎌진 후에는 자신의 인생 자체가 실패인 것 같은 좌절감과 분노만이 남게 됩니다.
=> 아이러니하다. 공감이 정말 되면서도 글쓴이가 권력 피라미드의 가장 높은 곳이라 할 수 있는 판사라는 점에 참 묘한 기분을 갖게 했다. 그렇다고 권력이 없는 자, 가난한 자가 이와 비슷한 말을 한다면(이렇게 수려하고 다듬어진 표현이 아닐 확률이 더 크지만) 이만큼의 힘을 갖고 수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질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냥 맞는 거고 공감 가는데 뭔가 씁쓸하다. 근데 사실 그 아이러니함에 나도 포함되어 있기도 한 게 또 이상하다. 사실 무슨 말을 하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

- 다음 부분은 좀 길어서 아래 밑줄긋기로 넣어본다. 끝!

하지만 사회에서의 문제들은 모르겠으면 아직 결론을 내릴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매사에 꼭 선명한 결론을 내리려고 무리하는 것은 오만인 동시에 무지입니다. 근거 없는 확신을유포하는 것은 무지를 넘어선 범죄일 수도 있는 것이고요. - P150

소영웅주의와 귀차니즘이 판치는 사회는 어떤 면에서 독재국가보다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후자에 존재하던 자생적인 비판적 지성이라는 희망이 전자에서는 고사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 어떤 막강한 거대담론에도 아랑곳없이 모든 것을 의심하는것이 과학자의 할 일이라면서, 과학 자체의 방법만으로 검토하고논의했던 무명의 과학자들이야말로 우리를 질식하지 않게 해주는 지성의 징표라고 생각합니다. - P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모임으로 같이 읽은 책이다.
삶이 곧 예배라는 말을 많이 하고 들었는데 어떻게 그렇게 살아갈 수 있는지 저자의 일상을 바탕으로 소개해주는 책이다.
에세이 형식이어서 읽기 쉽고 와닿는 것도 꽤 있었다.
가볍게 읽으면서 작은 통찰을 얻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교수가 들려주는 문화 갈등 이야기

표지가 강렬해서 뽑아 들었는데 꽤 유용한 책이었다.
특히 앞 부분은 젠더 갈등이 심각한 우리나라에서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논거를 들어 설명해줄 때 꼭 필요한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인종차별, 성차별을 일삼는 사람들과 차별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 기후 위기에 무관심하고 심지어 거짓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논박할 수 있는 논리와 사례를 제공한다.

챕터4정도까지 읽었는데, 젠더 갈등에 관한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근데 졸려서 다음에 쓰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퇴근 후 계획한 걸 하나도 안 했다. 잠들기 전에 시간을 낭비한 것 같은 죄책감에 책장에서 생각 없이 뽑았다. 소화도 시킬 겸 소리내어 읽고 싶어 아무 페이지나 펼쳐서 읽었는데 예상치 못한 감동을 받았다. 과학책에서 감동을 받을 줄이야.

지구를 이루는 물질에 대한 이야기였다. 물질은 대부분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그것이 일정한 질서를 가지면 결정, 그렇지 않은 것을 비정질이라 한다. 결정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왜냐하면 결정이 되기 위해서는 원자들이 ‘적당한’ 밀도로 모여 ‘적당한’ 온도와 압력 아래 장시간 놓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공적으로 결정을 만들기도 쉽지 않은데 자연에서는 더더욱이 어려운 게 당연하다. 그래서 어느 정도 크기가 되는 결정을 ‘보석’이라 한댄다.

어떤 원자들이 섞이는지에 따라 보석의 종류가 결정된다고 한다. 그런데 사실 보석을 이루는 원자는 흔히 볼 수 있는 원자다. 결국 보석이 귀한 것은 재료가 특별해서가 아니라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 삶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끔씩 인간관계에 대한 강연을 보면 사람을 ‘보석’ 혹은 ‘원석’에 비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대체로 원석을 다듬어 보석을 만든다는 의미로 활용된다. 이 책을 바탕으로 조금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원석이라는 표현에는 특별함을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는 의미가 담겨있기도 하다. 그런데 이 책에서 볼 때 사실 보석이 되는 데에는 어떤 특별한 특징보다는 과정과 그 결정을 이루는 ’흔한 원자들’이 더 중요하다.

이걸 삶에 적용해보면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다. 어떤 한 사람이 보석이 되는 데에는 특별한 재능이나 잘난 면모가 중요하다기보다 적당한 삶의 온도들과 적당한 압력을 버티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 아직 발견 못한 특별함을 계발하려 자책하고 애쓸 필요가 없다. 내가 겪는 흔하디 흔한 일상이 이미 나를 보석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소량의 불순물 원자가 섞일 때 아름다운 보석의 색이 나온다고 하니, 참 내가 겪는 어려움과 일상에 감사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하물며 자연에서 큰 결정이 저절로 만들어지기는 매우 어렵다. 쉽게 말해서 귀하다. 그래서 우리는 어느 정도 크기가 되는 결정을 보통 ‘보석‘이라 부른다. 지각에 가장 흔한 산소와 규소가 만나 결정을 형성하면 ‘수정‘이라는 보석이 된다. 이 과정에 수분이 더해지면 수정이 무지개 색을 띠게 되는데, 이것이 ‘오팔‘이라 불리는 보석이다. 지각에 가장 많은 금속인 알루미늄과 지각에 가장 많은 원자인 산소가 결합한 산화알루미늄이 결정으로 성장할 때 크로뮴 원자가 약간 첨가되면 붉은색 ‘루비‘가 되고, 타이타늄과 철 등이 더해지면 파란색 ‘사파이어‘가 되며, 베릴륨, 크로뮴이 더해지면 초록색 ‘에메랄드‘가 된다. 결국 보석을 이루는 원자는 지각을 이루는 흔한 원자들이다. 보석이 귀한 것은 그것을 이루는 재료가 특별해서가 아니라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보석의 색이 아름다운 것은 소량의 불순물 금속 원자 때문이다. - P1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스타그램 속 여성들의 심리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책이다.

뭔가 이상하지만 짚어내기 어려웠던 우리나라의 모습을 잘 짚어줘서 좋았다. 특히 ‘페미임을 알리기 위해 예쁜 모습을 보여준다’는 어쩌면 모순되어보이는 행동들을 만들어 낸 사회적 구조를 짚은 점이 좋았다. 더불어 어느 한 쪽을 무작정 비판하지 않고 사실은 그 두 모습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잘 나타내주어서 좋았다. 인스타그램의 특성, 사람들의 입체적인 모습들을 알고 이해하기에 괜찮은 글이었다. 번외로 책 디자인이 독특해서 맘에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02-09 17: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어보이는 책

지닝 2024-02-09 19:41   좋아요 0 | URL
우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