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발견력
사카토 켄지 지음, 박종하 옮김 / 위너스북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쾌한 발견력




타인에 대한 배려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그것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많겠지만 유쾌한 발견력의 저자 사카토 켄지는 타인을 바라 볼 때 작고 작은 발견에서 부터 시작된다고 말한다. 아주 사소한 것에 발견되어지는 것들이 나의 삶과 타인의 삶을 어떻게 변화 시킬 수 있는지 이야기 하고자 한다. 우리가 쉽게 지나치기 쉬운 모든 것들에 대한 세심한 관심 그것이 바로 나의 삶을 변화 시키는 첫걸음이 된다.




이 책의 저자 사카토 켄지는 메모의 기술로 베스트셀러의 반열에 올라섰다. 정리의 기술, 메모의 기술, 뇌를 움직이는 메모를 출판하면서 많은 이들에게 익숙한 이름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다시 시작 되는 그의 자기 변화 프로젝트. 그것이 바로 유쾌한 발견력이다.




"오늘 여러분이 발견하게 될 작고 사소한 그 무엇이 결코 가볍지 않은 큰 행운이 되기를 바라며."

(책의 서문 중에)




우리는 발견과 발명의 모호함에서 혼돈을 겪기도 한다. 발명은 기존에 없던 것에서 무엇이 만들어지는 현상이고, 발견은 기존에 있었지만 미처 알 수가 없었던 것을 알아내는 현상을 발견이라 한다. 신대륙을 발견하거나 떨어지는 사과에서 만유인력을 발견한 것, 알지 못했던 원소들을 알아내는 것 등이 여기에 포함이 된다. 이 책의 저자가 책의 제목을 발견력에 중점을 둔 것을 보면 이 책의 요지는 분명 나에게 있지만 내가 알지 못했던 그 무엇 혹은 타인이 가지고 있지만 미처 알지 못했던 그 무엇을 알아내는 것이 목표라 하겠다.




사카토 켄지는 이 책을 쓴 목적을 이렇게 요약하고 있다. 세심한 배려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 타인과의 교제가 서툰 이들. 취미는 없고 하루 종일 과중한 업무로 하루를 마감하는 이들. 더 멋진 미래를 보장 받고자 하는 이들. 마지막으로 자신 안에 긍정적인 가치를 찾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서라 말한다. 그리고 내가 이 책을 읽은 이유는 이기심이 만연한 이 사회에서 타인을 배려 할 수 있는 작은 원리라도 깨닫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기 때문이다.




제일 먼저 할 일은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타인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나의 주변에 펼쳐진 수많은 것들에 대해서 정리가 필요하다. 정리정돈이 필요한 이유는 넓게 보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주변이 정리가 되고 나면 민감력이 생긴다고 저자는 말한다.




발견력에도 설계도가 필요하다. 세심한 발견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계획이 준비되어야 한다. 아무런 계획 없이는 절대로 발견력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발견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정보의 수집과 여과 그리고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발견력을 키워주는 실제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청소와 정리정돈을 가벼이 여기지 마라. 혼자서 여행하며 걸어보자. 왜?라고 질문하자. 계속모드를 유지하자. 장례식에 참여해 보자. 자문자답하고 문제점을 적는다. 깨달은 것은 메모하는 습관을 갖자. 메모를 통합, 정리하여 전체 그림을 보자. 항상 문제의식을 갖자. 자연스러운 관심과 호기심을 갖추자.




결국 내 자신과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와 작은 것에서 느끼게 될 기쁨을 맛 볼 수 있는 방법은 일상 중에 숨겨진 작고 사소한 것에 대한 관심과 세심한 배려를 가지는 것이다. 그것에서부터 자라는 나의 발견력은 유쾌, 통쾌, 상쾌한 하루하루의 삶을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되어 줄 것이다. 사카토 켄지가 전하는 자기변화 프로젝트. 그것에 동참하기 원하는 이들이라면 꼭 한번 읽어 봐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