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 ㅣ 사이의 사무침 1
구연상 지음 / 채륜 / 2009년 3월
평점 :
[서평]철학은 슬기 맑힘이다
철학은 저마다에겐 보다 나은 삶을 스스로에겐 두루 살필 줄 아는 마음을 시원스레 밝혀 주는 슬기 맑힘이다.
노란색 책표지. 군데 군데 물방울들. 그리고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라는 제목. 왜 제목을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라고 지었을까? 궁금에 궁금이 더 해져서 읽게 된 책이다. 나에게 철학이란 너무 어려운 학문중에 하나이다. 가끔은 철학이라는 장르가 말장난 같게만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었다. 더욱이 요즘같이 바쁘게 살아가는 세상에 철학이라는 학문을 뒤돌아볼 여유조차 잃어 버렸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가장 우리 곁에서 살아 숨쉬고 있는 학문이 철학이다. 하지만 철학이라는 말이 너무 어렵다.
그래서 저자는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라고 말한다. 슬기라는 말의 뜻은 타고난 힘이 아니라 길러진 힘이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슬기라는 것은 저마다에게 보다 나은 삶을 스스로 살아나갈 줄 아는 힘이라고 말한다. 즉 슬기라는 것은 나의 삶을 요리조리 따져보고 스스로의 힘으로 삶을 영위하게 하는 그 어떤 것이다. 그리고 맑힘은 맑게 한다는 뜻으로 흙탕물이 맑아 지는 것처럼 우리 마음을 두루 살핀다는 것이다. 마음을 맑힘으로 정신을 건강하게 하고 사라져 버린 양심을 되 찾게 되든것. 즉 회복과 치유의 힘이라는 생각이 든다.
2부에는 못나누미(개인)라는 말이 나온다. 사람을 이루는 두 요소 가운데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부분 즉 정신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합니다. 못나누미의 근본적 의의는 못나누미 그자체로써 있는 것, 즉 실체로서 다른 어떤 것에 의지하지 않는 것. 스스로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스스로 책임져 나가는 능력인 자율을 가지는 것이 못나누미 인것이다. 즉 독립된 주체로서의 못나누미가 막힘없는 소통을 요구하는 사회 속에서 주체적으로 자기를 서로 함께 나눌때 함께 나누미가 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못나누미로서의 정체성을 가져야 비로소 함께 나누미가 된다는 것이다.
저자의 14강의중 2강의만 요약하여 발행한 책이라고 했다. 저자의 말처럼 슬기 맑힘이 가까이에 있는 것이지만 우리는 멀리 느낄수 밖에 없는것이 현실이다. 그래서인지 철학 즉 슬기 맑힘이 어렵게만 느껴진다 하지만 슬기 맑힘이라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니다. 나의 마음을 깨끗하게 갈고 닦아서 좀더 아름답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해주는 그런 것이다. 철학이라는 학문을 우리의 말로 풀이 하여 좀더 쉽게 우리게 다가오게 하여준 저자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철학이 난해하고 다가가기 어려운 학문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우리 일상에서 느낄수 있고 경험할수 있는 삶의 한 요소라는 것을 잊지 말자. 그리고 좀더 슬기 맑힘으로 살고 싶다면 구연상씨의 철학은 슬기 맑힘이다라를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