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못 된 세자들 표정있는 역사 9
함규진 지음 / 김영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불운의 시작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인하여 고려왕조의 운은 다하고 새로운 왕조 이씨왕조 조선이 들어 서게 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조선왕조의 시작. 그것이 현재의 우리에게는 어떤 의미를 던져 주는 것일까?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 왕조500년 그것이 전부 일까? 요즘은 조선왕조를 재해석하는 책들이 많이 발간 되고 있다. 근 몇년간은 정말 꾸준히 이러한 책들이 발간 되고 있다. 조금은 퓨전의 맛이 가미된 역사로의 초대가 기다려지는 시간들이다. 세자로 책봉을 받는 다는 것. 아니 왕의 자식으로 태어난다는 것. 그것은 과연 행복한 일이었을까? 어려서부터 시작되는 세자교육. 제대로 숨쉴틈도 없이 죄여오는 권력의 그림자들. 그들은 그

시대의 최고의 권력자가 아니라 그 시대의 가장 불행한 희생자가 아니었을까? 왕의 자식으로 태어나는 것이 가장 큰 불운의 시작이 아닐까? 

권력에 희생자로
권력이라는 이름안에 희생당한 세자들. 때로는 아버지에게 때로는 형제에게 죽임을 당하여야 했던 그들. 최초의 세자 의안대군 이방석. 그는 이복형제게 죽임을 당하여야만 했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자식들. 소현세자와 사도세자. 그들의 죄는 무엇이었을까? 권력유지를 위해 자신의 혈육마저 버려야 했던 조선의 왕들. 그들은 권력이라는 미명하에 자신의 가슴을 도려내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선택받지 못한 인생
인생은 선택받음의 연속이다. 선택받지 못한 왕의 자식들의 고통은 얼마나 컷을까? 빛도 없이 이름도 없이 그렇게 사라져 가야 했다. 시대의 선택을 받은 세종대왕. 그리고 시대의 선택을 받지 못한 양녕대군. 시대에 부합하지 못한 권력자는 영원한 2인자로 남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선택받지 못한 인생의 그늘에 갇혀 살아야 했던 양녕대군의 몸부림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후세에도 그는 2인자로의 이름만 남겼을 뿐이다.


왕이라는 이름으로
조선왕조 마지막 왕이라 일컫는 영친왕 이은. 조선이라는 정체성도 일본이라도 정체성도 그에게는 어떤 의미였을까? 시대에 버림받은 인생의 여정은 어둡기만 했다. 조선에서 버림받고 일본에서도 버림받은 우리의 마지막 왕. 마지막 숨을 조국에 와서 거두며 그는 어떤한 회한이 들었을까? 차라리 왕이라 하지 않았다면 차라리 보통 사람이었다면. 그는 과연 행복했을까? 영친왕을 기억하는 이들은 흔치 않다. 우리의 마지막 왕은 고종이라고 생각하고 배웠으니까. 한평생 조국을 떠나 살아야 했던 그의 삶의 정체성을 과연 누가 말해 줄것인가?
 

이시대의 세자들
초등학교 시절부터 공부라는 등급에 매여 살아야 하는 이시대의 아이들. 그들은 또 다른 권력의 희생자일뿐일까? 시대의 욕심이 만들어낸 대한민국의 아이들. 조선의 세자들처럼 과연 그들의 삶에는 자유라는 것이 있을까? 왕이 못된 세자들을 읽으며 왜 그렇게도 우리 아이들이 생각이 났을까? 이 시대의 또 다른 세자들이 되기위해 몸부림 치고 있는 우리 아이들의 정체성은 누가 말해 줄것 인가?
 

역사를 안다는 것은 현재를 짚어볼수 있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다. 우리의 불운했던 조선의 세자들. 이 책을 보면서 과거를 알게 되었다면 현재 우리의 모습을 뒤 돌아보고 다시는 반복을 해서는 아니될것이다. 우리의 욕심으로 시대의 욕심으로 우리 아이들을 또 다른 희생자로 만들것인가? 이렇게 좋은 책을 만나고 느꼈다는 것이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