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시콜콜 조선복지실록 - 단 한 명의 백성도 굶어 죽지 않게 하라
박영서 지음 / 들녘 / 2022년 2월
평점 :

이 책의 표지와 구성을 디자인 한 디자이너에게 먼저 손뼉을 쳐 주고 싶다. 겉표지도 옛 조선의 책을 만지는 것처럼 종이 재질로 되어 있어서 촉감이 색달랐다. 책을 두르고 있는 띠지도 투명해서 다른 책들과는 달랐던 것 같아 신기하다고 생각했다.
코로나19 감염증 사태로 인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국민들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재난지원금이 국가적으로 복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국가에서 지급하는 이 금액과 제도를 모르는 이가 없는 세상이 되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과연 조선시대에는 재난지원금이 있었을까 하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솔직하게 나는 생각해 본 적은 없다. 재난지원금과 같은 국가 주도의 복지 체계가 조선시대 같은 옛날에 존재할 리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저자는 조선시대에도 재난지원금과 유사한 형태가 존재했음을 독자들에게 가르쳐 주며, 과부로 살아가고 있거나, 길에서 굶어 죽어가고 있거나, 동냥을 하거나, 또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한 갖가지 정책들이 시행된 바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알려준다. 이처럼 오늘날에는 우리가 당연시하는 국가의 복지 체계가 대한민국 건국 이전의 옛 시절에도 존재하는 개념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는 신선한 접근이라고 생각한다.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이 없었던 때에 국가에서 곡식을 제공해 주고, 그마저도 곡식의 양이 부족할 때는 심지어 임금의 곳간에서 곡식을 대여해 주기도 했다고 한다. 위기에서 잠시 벗어난 백성들은 추후에 이자를 쳐서 갚을 수 있었다.
이 책은 국민들이 복지 혜택을 받는 과정에서 각 지역의 지방관, 관찰사, 그리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임금의 감찰관 격인 어사들이 임금과 주고받은 서신의 내용이 담겨 있어서 매우 흥미로우며, 읽을거리가 상당히 많았다. 박지원, 정약용 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인물들의 편지 또한 수록되어 있고 백성들을 생각하는 그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존재한다. 하지만 역시 탐관오리들과 탐욕스러운 아전들의 횡포는 멈출 수 없는 골칫덩이였던 것 같다.
전국에서 수많은 아전들과 관리들이 도덕적으로 타락하여 다른 백성들이 먹을 것이 없어 굶어죽는 판국에 곡식을 횡령하고 공권력을 이용하여 횡포를 부리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음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옛날이나 지금이나 나라의 녹을 먹는 자들이 그 권한을 남용하는 사례는 수도 없이 만연했던 것 같았다. 책을 읽는 내내 그들의 악행에 분노를 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코로나19 시기에 보건직 공무원들에게 업무 과중이 생긴 것처럼, 과거에도 흉년이 들면 각 지방의 복지 등을 총괄하여 책임지는 지방관들의 부담이 매우 커서 고뇌하는 모습이 그들이 주고받은 서신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위기 상황이 터지면 공무원들은 항상 고통받는 직종이었으리라.
이 책에는 잘 알려진 조선시대 인물들뿐만 아니라 수많은 직책에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서신의 내용이 담겨 있어서 그들이 문제를 타개할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민한 세부적인 정책 내용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상황과 복지 체계에 대해서 한 번쯤은 공부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이 책을 교양적인 측면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