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은 왜 실패하였는가? - 태평양 전쟁에서 배우는 조직경영
노나카 이쿠지로 외 지음, 박철현 옮김, 이승빈 감수 / 주영사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역사이든 배울 것은 있다.

역사는 늘 현재의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알려주는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성공의 역사라면 성공의 과정과 성공의 요소들로 현재의 길을 밝히고, 실패의 역사라면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고 다시 그 실패의 길을 걷지 않도록 하는 이정표와 같은 역할이랄까? 일본인이 작성한 일본 패망의 역사. 이미 지나간 과거의 사건들일 뿐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뼈아픈 실패의 역사를 보는 일본의 학자들 또한 역사가 가지는 이러한 의미를 누구보다 잘 알았기에 이 책을 오랜시간 준비하고 계획했으리라. 그들이 지나간 전쟁의 역사, 그것도 실패한 전쟁의 역사를 들여다 본 것은 전쟁에 한하여 적용되는 이론이나 교훈을 얻기위한 것이 아니라 이 실패한 전쟁이 현재의 일본을 이끌어가는 또 다른 전투부대, 즉 기업과 사회라는 조직이 이 실패를 다시 겪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었으리라 생각한다.

 


군을 통해 본 조직의 방향

이 책은 상당 부분을 일본의 패망에 영향을 끼친 6개의 전투를 설명하는데 할애하고 있다. 6개의 전투는 결과만을 놓고 볼때 실패로 끝을 맺은 전투이고 각각의 전투가 실패한데에는 목적과 상황이 달랐듯 원인 또한 달랐다. 이 실패의 원인과 과정을 통해 전투를 수행한 일본의 군부대 조직의 문제점을 밝혀내는데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일선군부대와 사령부의 상황을 인식하는 시각의 차이, 기본적인 공급가능한 물량의 차이에 기인한 근대적 전투력의 격차, 정보력과 정보를 다루는 기술의 차이, 목적에 부합하는 수단의 모색과 적절한 자율성, 유연성을 보장하는 군 조직내의 분위기등 그 실패의 원인과 과정에서 빚어지는 문제점들은 매우 다양한 원인과 결과로 귀결되는데 때로는 군의 사기를 고양시키는 장점으로 활용되는 요소가 때로는 군을 경직시키는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때로는 가장 하급요소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때로는 가장 최고의 지도계층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책이 기술하고 있는 이런 부분들은 후반부로 가면서 조직에 이러한 점들을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며 최종적으로는 전쟁이라는 비극적 역사를 통해 바람직한 조직의 운영이 갖추어야할 요소들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읽기에는 쉽지 않은 가장 중요한 교훈들.

이 책은 사실 읽기에 쉬운 책은 아니다. 특히 군 경험이 전무한 여성들에게는 전투를 설명하고 과정을 설명하는 책의 많은 부분이 생소하고 복잡하게 느껴질 뿐이기 때문에 책을 읽는내내 내가 어떤 내용을 읽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곰곰이 잊지 않도록 주의하며 읽어야 하는 책이기도하다. 하지만 전체적인 부분을 모두 단락별로 구분하고 있고 분석의 장을 따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이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읽는 것만으로 책의 내용을 파악할수도 있을것이다. 신기한 것은 책을 읽는 동안 이미 읽는 이 스스로도 전투를 수행하는 군부대의 여러 요소들과 결과들을 현대의 기업과 조직, 그리고 사회에 적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운영되어지는 군이라는 극단적인 예를 통해 기업과 사회의 운영을 논하는 것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며 이미 우리가 여러 분야에 적용하고 공부하고 있는 경영학의 대부분이 군사조직을 운영하며 수립된 것이라는 것을 상기한다면 새로울 것도 없는 사실이지만 사람의 목숨을 목전에 두고 결정을 내려 목적을 달성해야하는 군이라는 특수상황이 오히려 이런 과정과 결과를 좀 더 자극적으로 인지하게 한다고나 할까? 결코 재미있는 책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다른 종류의 책들을 읽는것에 비해 비교적 꽤 오랜시간을 들여야 읽어낼 수 있는 이 책을 통해 전쟁은 아니나 전쟁보다 치열한 조직의 생존을 위해 최일선의 하급 구성원부터 최고층 지도자까지 갖추어야하고 준비해야하는 조직의 생존법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지금도 전쟁만큼 처절한 경쟁이 계속 되고 있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