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마음 공부를 시작했다 - 전에 없던 관계와 감정의 혼란에 대하여
김병수 지음 / 더퀘스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흔...

흔히 말하는 불혹 미혹됨이 없다는 뜻의 나이이다..

사실은 마흔이 되고나서도 또는 마흔이 되기 이전에도 마음공부를 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책 제목에 굳이 마흔이라고 쓴 이유는 뭘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저자가 말하는 마흔이라는 의미는 어느 정도 생활의 안정이 이루어지는 시기, 아이들도 어느 정도 자라고, 사회에서도 안정기에 이르는 그 나이를 의미하는 것 같다. 그러면서 마흔이라는 그 시기에 좀 더 유연하고 너그러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아마도 ‘40에 읽는 자기 계발서라는 말이 더 적절한 표현이 될지도 모르겠다.

책속에서 내가 기억에 남는 말은

본인 스스로 완벽주의자가 되겠다고 마음먹는 것은 그대로의 자기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를 미워하겠다는 선언과 같다. 나 아닌 다른 사람에게 완벽을 강요하는 것은 이 세상 누구도 사랑하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이었다.

내 스스로는 완벽주의자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가끔은 나의 완벽하지 못함을 한탄하거나 애석해 하는 일은 아주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그런데 작가는 완벽주의자가 되지 말고 남에게도 강요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흔이 아닌 어떤 나이의 사람들에게 모두 필요한 덕목이지만, 어느 정도 나이를 먹은 마흔의 우리에게 다시 한번 강조를 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세상 근심 걱정은 거의 대부분 상상의 산물입니다. 그러므로 걱정하는 일이 생겨도 상관없다는 마음을 가지면 오히려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두려워하고 있는 바로 그 일이 일어나기를 오히려 바란다면(어떤 경우는 그 일이 일어나도록 일부러 행동하기도 합니다) 생각의 의도가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걱정도 사라집니다. 이런 치료법을 역설의도라고 합니다.(p150, 151)’

마지막으로 내가 기억하고 싶은 글은 마음을 비웠다는 말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미 마음을 비운 사람은 굳이 이렇게 말하지 않아도 되는데 마음을 완벽하게 비우지 못한 사람들이 하는 말이라는 것이다. 비운 사람들은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엊그제 친구들이 권유한 일에 대해 내가 맘을 비웠다는 표현을 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내 마음을 돌아 보았다. 진짜로 마음을 비웠는지에 대해서.....(아마도 비우는 것이 맞다고 그것이 정답이라고 생각은 했지만.....100프로는 비우지 못했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러나 그것 또한 어쩌하리.....라는 생각을 하기로 했다. 내 스스로에게 관대해지고, 여유를 갖는 것...이 두가지것이 마흔에 마음공부를 시작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