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이화 선생님이 들려주는 이야기 한국사 1 -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기까지
이이화 지음 / 파란하늘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학창 시절 국사선생님이 좋아 국사시간을 기다려던 기억과 함께 언제부터인가 국사는 내게 즐거움과 기다림을 주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이책 또한 설레임으로 기다렸습니다.
이야기 한국사는 2권으로 나눠서 역사 전체에 대해 다루고있습니다
1권은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기까지
2권은 조선시대중기부터 근대까지
이 두권만 있으면 국사책이 따로 필요없을만큼 또하나의 국사책같다는 느낌입니다.
일단 아이들이 그림책처럼 볼수있을정도로 첨부사진이 많아요. 사진이 없는 페이지가 없을정도이니까 처음엔 박물관 구경한다 생각하고 그림만 훑어보아도 자연스레 우리 이야기가 곁들여 질수있어요.
게다가 사진이 컬러라 생생함과 현실감을 주기 때문에 지루하지도 않구요.
국사책을 보면 사진이 모두 흑백이라 지적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엔 좀 부족하거든요.
그리고 두권으로 나눠져 있어서 불량에 따른 부담감이 없어요.
똑같은 불량을 한권으로 다루었다면 양에 질려서 펼쳐보는 횟수가 줄어들었을거예요.
얇아서 간편하게 들고 보기에 좋네요.
연표가 이야기 첫부분에 큼지막하게 나와있고 사진과 중요 사항이 함께 있어서 시대흐름을 이해할수있는 연상작용을 해줘요.
요즘은 한시대를 집중적으로 다룬 역사책이 눈에 많이 띄드라구요.
또 인물중심 사건을 중심으로 다룬 책은 많은데 우리의 역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룬 책은 사실 보기 드문거 같아요.
그런데 한가지 아쉬운점은 사전처럼 책 옆에서도 차례를 찾기 쉽게 구별을 해놓았으면 더 좋지 않았을가 싶어요.
기왕에 시대별로 나온거 사전에서 ㄱ, ㄴ, ㄷ 처럼 차례를 찾기 쉽게 해놓았으면 아이들 스스로 혼자서도 보기 쉬운 책이 되지 않았을까 싶어요.
아이들이 커가면서 역사관련 박물관을 자주 찾게 되요.
그런데 집중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을 박물관에 있는 모든 물건 하나하나에 관심을 쏟게하고 집중하게 하는건 정말 어려운 일이드라구요. 매번 초반에는 열심히 보다가 나중에는 지겹다고 대충대충보고 얼른 나가고 싶어 하는 아이들에게 가장 좋은건 사전 정보를 주는것인데 전 이책을 그렇게 많이 활용하려고 합니다.
책에서 본 내용과 사진을 직접 찾아보고 확인을 하는 과정에서 뭔가 알아가는 뿌듯함을 느끼게 될테니까요.
요즘 촛불집회를 다룬 프로그램을 자주 접하면서 풀뿌리 민중이 만들어가는 역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국민이 직접 만들어가는 역사를 눈으로 직접 보는것같아 흥분되고 살아있다는걸 느끼게 됩니다. 그것이 역사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것이요.
우리집에 역사의 강줄기를 들여놓아 늘 목마르지 않을것 같아 행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