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가족 상상도서관 (다림)
로드리고 무뇨스 아비아 지음, 남진희 옮김, 오윤화 그림 / 다림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서 당당하게 얘기한 완벽한 가족. 얼마나 완벽할까 궁금했다.  

그들의 이력은 정말 흠잡을데 없이 완벽했다. 부모님은 이름만 대면 알정도로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한 유명인이고 두 누나는 학교에서 늘 1등을 하고 모든 대회에서 항상 상을 휩쓰는 완벽녀이다. 하지만 주인공 막내 알렉스는 두과목이나 낙제를 했다.  알렉스는 잔뜩 겁먹었지만 부모님은 언제나처럼 이성적으로 부드럽게 문제가 있으면 언제든지 도움을 청하라는 말씀만으로 상황을 정리해주신다.  

알렉스와 가장 친한 라파네 집은 너무나 자유분방해서 질서라는건 없는 것 같다. 알렉스는 그런 라파가 부럽다. 하지만 늪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허우적거릴수록 더 깊이 빠져들듯 완벽한 자신의 가족들에게 질린 알렉스도 어느새 완벽에 익숙해졌는지 라파네 환경은 부러우면서도 머리속에서는 끊임없이 더 나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알렉스가 과자를 먹고 싶을때도 몸에 좋은 과일을 먹으라던 엄마의 충고에 슬며시 바나나를 선택하듯이. 

어느날 라파는 알렉스에게 가족들을 엿보면 더이상 완벽한 가족이 아닐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으로 가족들을 엿보면서 뜻하지 않은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아버지는 직장이 아닌 카페에서 하루종일 시간을 보내고 있고, 늘 일등만 하던 누나들이 컨닝페이퍼를 만들고 있고, 늘 건강을 부르짓던 엄마가 밤에 가족들의 눈을 피해 흡연을 하고 있는 모습을.  

너무나 완벽한게 싫어서 평범한 가족을 확인하고 싶었지만 완벽을 뺀 알렉스의 가족은 알렉스가 받아들이기 쉽지 않았다. 완벽하지 않은 가족의 모습을 제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스파이를 자청했지만 현실을 인정하기엔 고통이 따랐다. 하지만 그들은 쉬쉬하던 자신들의 모습을 당당하게 밝히면서 그동안은 허상뿐인 완벽한 가족이였다면 이젠 진짜 마음까지 완벽해진 가족이 되었다.  

재미있고 흥분되는 유익한 이야기였다. 완벽하다고 믿었지만 완벽은 없었다. 그런데 마지막에는 진짜 그들은 완벽을 만들면서 끝을 맺는다. 완벽이 무엇인지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한다. 그들이 자신들의 행복을 위해 스스로 만들었던 틀을 과감히 벗어던지는것을 보면서 행복한 충만감 그것이 완벽이 아닐까 생각한다.  

대부분 사람들이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그래서 평생에 한번 당첨되기 어려운 로또라는것에 열광한다. 하지만 로또 당첨자들 대부분의 씁슬한 소식을 들었다. 영화에서는 사랑대신 돈많은 배우자를 선택한 이야기들이 종종 나온다. 하지만 그들역시 행복하지 않은 모습이다. 우린 가보지 못한 경험해보지 못한 그 세계가 진정한 완벽이라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지금 늘 더 나은 내가 되기위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지금이 가장 행복하고 가장 완벽한 시간이 아닐까 싶다.  

어른들은 종종 말씀하신다. 간난아이를 안고 쏟아지는 잠에 피로에 젖어 빨리 아이가 커버렸으면 좋겠다는 푸념을 늘어놓으면 말씀하신다. 지나고 보면 그때가 가장 행복했던 때라고. ... 

완벽함, 행복감 그것은 항상 내 곁에 존재한다는것을 잊지 말아야 겠다.  

더 나은 완벽을 위해 달려가고 있는 지금 더 많은것을 잃어버리고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기억에 남는 구절 -------------------- 

p. 132 나는 내가 우리 식구들의 결점을 발견해 내고 싶어 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들 역시 숨 쉬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싶었다. 그러면 기분이 좋아질 거라고 믿었다. ~완벽함이 나를 조금 난처하게 만든것은 사실이다. 그건 분명하다. 그러나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이 이런 것이고, 우리 모두를 고통스럽게 하는 것이라면 완벽함이 차라리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이상한 일이엇다. 지금처럼 완벽한 가족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다. :우리 스스로에게 문제가 있다고 느낄때 우린 완벽을 꿈꾼다. 

p.152 나는 언제나 모든 것을 오나벽하게 하려는 것은 별로라고 생각해요. 완벽한 사라이 되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좋을 건 없으니까요. 결점이 있다는 게 그리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p. 179 우리 모두가 서로서로를 엿보았다면 그것은 다른 사람의 불완전한 면을 찾고 싶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결점을 드러내는 법을 배웠다. 덕분에 우리는 더 큰 평화를 되찾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