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야? 토끼야? 생각쟁이 그림책 1
에이미 크루즈 로젠탈 지음, 서연 옮김, 탐 리히텐헬드 그림 / 아이맘(전집)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림책이다. 흔히 어른들의 눈높이에서 그림책은 너무 뻔하고 너무 유치하고 너무 쉽다.  

그런데 이책은 너무 재밌다. 엄마가 읽어주면 아이들도 아빠도 너무 좋아한다. 보면 볼수록 헷갈리는 그림 때문에 우리집 가족들도 사분오열이다. 우리집은 두가지 의견중 조금 나이가 든 사람들은 토끼로 본다는것이고 나이가 어릴수록 오리에 가깝게 본다는것이다.  

처음에 난 이그림이 어떻게 오리로 보이는걸까? 그게 의문스러울 정도로 토끼로만 보였는데 설명을 보면서 아~ 오리로도 볼수있구나 생각할 정도였다.  

어쨋든 이 그림을 보면서 왜 오리로 보이는지 왜 토끼로 보이는지 서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기 위해 열심히 의견 제시를 한다. 너무 재밌는건 어떤것이 정답인지 확인하지 못한채 어쩌면 상대방의 말이 맞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냥 다른 놀이나 하자고 한다. 다른 놀이감으로 옮기면서 두 아이는 또다시 자신들의 시각으로 다르게 보여지는 놀이감에 또 다시 논쟁이 시작된다. 마지막에 어쩔수 없이 웃음이 퍽 나온다.  

우리집에도 두 아이가 있지만 아이들은 세상에 없으면 안될것처럼 둘도 없이 친하게 지내다가도 금방 또 원수처럼 싸운다. 그리고 다시 또 아무일없이 언제 그랬냐는듯이 사이좋게 논다. 어른들에게는 그런 일을 겪으면 분명 앙금이 남아서 다시 쳐다보기 싫을것 같은데 아이들의 뇌구조는 정말 신기하다.  

그런 아이들의 상황을 너무 재밌게 간단한 그림과 짧은 글로 표현했다는게 놀라운 책이다. 누구나 공감할수있는 재미와 묘미를 표현한 멋진 그림책이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는 그림들을 많이 보여주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마지막에 이 그림은 어떻게 보이세요? 그런란이 있었더라면 아이들에게 마지막 상상력 발휘할 시간을 줄수있었을텐데.. 

이름만 대면 훌륭하게 성장한 사람들의 어린 시절 이야기속에는 대부분 대화와 논쟁이 자유로웠던 가정환경을 꼽고 있다. 우리 현실은 너무 바쁜 아이들과 너무 바쁜 부모님들은 한자리에 모일 시간이 별로 없다. 모여도 또다시 자신들이 가야 할 곳을 위해 잠시 머무르는 정거장처럼 한곳에 모여있다 외출한다. 요즘 논술대비를 위한 학습지도 많고 학원도 많다. 진정한 논쟁과 토론의 문화는 가정에서 시작될수있는 현실이 아쉽다. 그런 가정 문화가 자리잡을수있을도록 어릴때부터 아이와 어떤 대화든 많은 대화를 하도록 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