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뚝! 징검다리 동화 4
헤르만 슐츠 글.그림, 이미화 옮김 / 한겨레아이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재미 뚝!이라는 말한마디가 경건한 마음으로 이책을 들게 하네요.

이제 무질서는 끝, 규칙 지키기~하며 롤란트가 소리없는 감시를 한다는 이책의 줄거리를 한마디로 요약한 멋진 제목이네요.


레오니는 올해도 농장에서 방학을 보내기로 합니다.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엽서에서 말씀하신 개를 보려했지만 그곳에는 개로 인해 바뀐 농장의 변화와 음모(?)만이 기다리고 있어요.

레오니는 그 모든 변화를 롤란트가 주도했다는걸 알게 되었죠. 롤란트는 그동안 농장의 모든 동물들을 협박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굳건히 하고 명성에 걸맞는 능력을 입증해줄만한 질서정연한 농장의 모습을 보여주었어요. 그로인해 작은둥지(할아버지 마을이름)는 수입도 좋은 관광지가 되었는데 어느날 이곳은 아름답지 않다는 꼬마의 말 한마디로 더 이상 아름답지도 않고 롤란트는 더 이상 유능한 개가 아닌게 되버렸어요. 롤란트는 사라졌지만 여전히 그가 남겨놓은 어두운 협박의 그늘이 농장의 질서를 흐트러트리지 않은채 유지되고 있습니다. 레오니는 마침내 그 유명한(?) 롤란트 경사를 만나게 됩니다. 자신의 모든걸 위엄과 권위를 상징하는 경찰모자를 집어 던질때 롤란트는 마음속에서도 자신의 허물도 벗어던졌다는걸 인정해주고 다시 한번 작은 둥지를 위해 꼭 필요한 개가 되어 달라고 합니다.

롤란트는 체면이 깍이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만들어 냈던 질서의 일부를 다시 돌려놓는 현명한 계획을 세워주리라 다짐받으며 끝을 맺습니다.


인간과 동물이 마치 한 종족처럼 대화를 하는 독특한 환경 설정이 눈에 띄네요. 그것자체가 진정한 질서를 향한 메시지가 아닐까 싶어요. 롤란트 경사는 경찰대학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가슴이 없는 머리만 있는 사람같다고 해야할까요 너무나 이성적이지만 그러면서도 부도덕한 권력자를 닮아 있는 모습에 씁쓸해지기도 하네요. 그가 이루어낸 눈이 휘둥그레지는 성과에 누구나 찬사를 보냈지만 어린 꼬마의 눈은 속일수가 없었네요. 협박과 억압으로 만들어낸 질서는 아름답지 않다는 것을요. 어른들 눈에는 오물하나 없이 깨끗하고 똑같이 찍어낸것처럼 대열에서 이탈하지 않는 질서를 아름답게 생각했지만 그건 어른들이 만들어낸 제도이고 도구에 불과 했어요. 아이들은 질서밖의 자유와 창조력, 상상력을 즐기고 싶어하니까요.


질서와 자유 두요소의 공집합을 어디까지 만들어내야 할까 하는 부분은 실로 쉽지 않은 문제인것 같아요.

그 공집합을 두 집합이 모두 인정하고 함께 만들어내는 노력과 과정이 재미있고 쉽게 그려진 동화라 어른, 아이 모두 한번 읽어보라 권하고 싶은 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