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이야기 -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우수 과학 문자, 어린이인문교양 011
정은균 지음, 유남영 그림 / 청년사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와 머릿말을 읽으면서 저도 새삼 우리 한글의 위대함에 대해 생각하게 됬어요.

얼마전 초등학생 6학년인 조카가 왔는데 벌써 토플을 공부한다고 하드라구요.

그 얘기를 들으니까 아직 알파벳 공부하고 있는 우리 딸 생각에 조바심나고 괜시리 아이를 닦달하기만 했는데 우리글에 대한 자부심을 심어줘야 겠다는 생각은 안해봤네요.




모 만화프로그램을 통해 천자문을 접한 딸이 한문은 뭐냐고 물었었죠.

그래서 요즘은 요일 한자만 익히고 있는데 아직 어리다보니까 단어를 물어보면 한자와 함께 이야기를 해줘요. 그만큼 한자는 아직도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지만 이 말들을 이렇게 쉬운 한글을 쓸수없다면 하고 생각만 해도 답답해지드라구요.




이 책에서는 우리글이 얼마나 효율적인가에 대해서도 얘기해주고 있어요.

한자는 처음엔 3천자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56,000자 정도가 되었고 앞으로도 새말, 새 단어가 생길때마다 새 글자를 만들어내야 한다네요.




하지만 우리말은 무슨 소리든 다 글로 쓸수있잖아요. 배우기 쉽게 되어 있어서 중국의 첫 번째 대통령인 위안스카이가 한글을 중국 국민에게 가르치려고 했었데요. 그랬다면 우리글 한글은 지금쯤 세계 공통어가 되었을지도 모르죠.




그만큼 우리말은 배우기 쉽다는게 큰 장점이래요. 그건 세종대왕님이 우리 백성을 정말 사랑하시는 마음이 담긴 노력의 산물이였어요.반대없이 널리 두루 쓰일수있게 반포까지 3년의 유예기간을 두시면서요.

한글이 널리 사용되면서 우리 문학도 더 발전할수있게 되었구요.




한글은 창살글자라는 말 저도 어렸을적에 많이 들었어요.

그건 한글창제과정을 저세히 알수없었을적의 유언비어였다네요.

혹 아직도 그렇게 알고있는 어린이가 없기를 바라는 마음이 들었어요.




한글은 우리의 발성기관을 연구하여 만들어진 우수한 글자라는걸 다시한번 새겨봐야 겠어요. 훈민정음의 원리는 오늘날 휴대폰 문자메세지에도 잘 적용되어 있는걸 보면서 새삼 으쓱해집니다.




이책에서는 글자 모양의 변화도 보여주고있어요. 시대에 따라 변한 글자의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 더 좋은 모습으로 세계속에 우뚝선 우리 글자를 기대하게 되네요.




세계도 인정한 우리 한글의 우수성을 우리만이 내려보고 하찮게 생각하는 것 같아 반성하게 됬어요.

우리글은 너무나 많은 장점이 있는데 7가지로 보여주고 있네요.

1. 한글은 배우기가 쉽다---그래서 세계적으로 문맹률이 가장 적은 나라가 우리나라라네요.

2. 가장 발달한 문자 종류에 포함된다 -- 닿소리 홀소리 모두 더해 24개만 있으면 모든 단어를 적을 수 있는 장점

3. 낱글자와 말소리가 정확하게 일치 --- "ㅏ" 는 늘 아로만 읽는다는것이지. 헷갈리지 않아요.

4. 글자모양과 소리의 특징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있다

5. 매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만들었다 -- 세계의 학자들이 한결같이 감탄하는 가장 큰 이유. ==> 발음기관과 우주 자연을 본떠 바탕글자를 만들고, 여기에 선을 더하거나 그자를 되풀이해 써서 낱글자를 만들어내고..

6. 독창적인 문자 --다른 민족의 문자를 흉내내지 않고 홀로 만든 독창적 문자.

7. 낱글자를 풀어쓰지 않고 모아써서 편리. ----모아써서 눈으로 읽기도 편하고 금방 알아볼 수 있는 이점.




어때요? 한글의 좋은점 정말 많죠?




이정도면 이제 우리가 한글을 푸대접하면 안될거같아요.

세계화속의 영어도 좋지만 가장 먼저 우선할 것은 우리의 소중하고 훌륭한 한글을 사랑하고 지키는 노력인거같아요.

요즘 우리말의 수난시대라고 해도 좋을만큼의 엉터리같은 말들을 들으면 가슴이 답답해져요.

정부에서도 어떤 제도를 만들때보면 꼭 영어로 쓰더라구요. 얼마전 퀴즈를 보는데 학교주변에서 아이들을 위해 불량식품을 판매하지 못하게 하는 제도를 얘기하는데 그것도 그린푸드제도라고 하더라구요. 우리의 좋은말 많이 놔두고 왜 꼭 영어를 쓰는지..우리모두가 각성해야할 일입니다.




이책은 두고두고 볼 책이네요.

한글에 대한 사전같아 더 소중하게 볼것같아요.




좋은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