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2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긴장된 마음으로 책을 폈다.

책을 읽는 내내 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생각 하나가 있다.

김정희에게 글씨는 신앙이요 신념이구나.







어린시절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이야기가 아닌 문득문득 아득하게 빠져드는 꿈길을 따라 진행되어진다.




추사는 어린시절 따뜻하고 후덕했던 할머니의 품을 떠나 나라법에 의해 월성위궁의 장손이된다.

하지만 어린나이에 큰아버지 즉 양부모와 조부모를 모두 떠나보내면서 허허벌판에 우뚝서있어야만 하는 소나무처럼 월성위궁의 주인 노릇을 해야했다.

친어머니를 보내는 자리에서도 눈물을 보이지 말아야 했다.

소실 초생과의 사이에서 난 애처로운 운명을 타고난 상우를 보며 늘 가슴에 멍에를 안고 살아야 했다.

실사구시 온고지신 이용후생 경학의 선두주자로서 안동김씨 일파의 세도에 희생양이 되어 유배지에서 삶을 살아야 했다.




추사의 삶을 읽어가면서 살아서 추앙받고 명예를 얻었지만 그 삶이 참으로 신산하다 싶어 인간미가 느껴졌고 그러면서도 꼿꼿하게 자신을 지켜내는 모습이 세한도의 태허의 동그라미처럼 신묘하다.




추사는 고독할때도 벗이 그릴울때도 나라를 생각할때도 몸이 괴로울때도 사랑이 그리울때도

글씨를 썻다.

면벽참선이 아닌 무수한 경전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는 그의 신념처럼 그의 글씨도 그의 높고 높은 지식도 다섯수레의 책을 통해 만들어진것이였다.

깊은 학식으로 무장된 그의 삶은 그를 이 나라 최고의 학자에 올려놓았지만 그를 두려워 하는 많은 적을 만들어 냈고 죽음과도 같은 유배지의 삶을 이어가게 했지만 그를 구해준 것 역시 그의 글씨 즉 자신이였다.




우린 그의 신들린듯한 글씨와 그림과 난치는 모습에 매료되어 부러워만 하지말아야 할것이다.

피나는 노력을 더 사랑해야 할것이다.




한승원님은 추사의 인간적인 모습을 많이 그려내시려고 노력하셨다.

유배지에서의 외롭고 병마와 싸우면서 나약해지는 모습에서 인간 김정희를 만날수있었다.




하지만 추사 김정희는 대단한 자존심 강한 사람이였음을 부인할수 없다.

초생을 함께 나누어도 좋을만큼 좋아한 초의와의 언쟁에서도 결코 자신의 신념을 내려놓지 않는 추사를 보면서 진정한 자존심과 자부심을 갖고 산다는 것이 무엇을까 새삼 부러웠다.

그들의 깊이 있는 대화가 부러웠고 목숨을 걸고 제주도 유배지를 찾아준 우정이 부러웠다.




내 아이를 우러러 볼수 있는 그런 사람으로 만들어주고 싶어 탐났다.

김정희의 명석한 두뇌를 보며 더 크게 만들어주기 위해 더 많은 가르침을 줄 수 있는 박제가를 소개해주는 양부의 모습을 보며 자식 교육을 위해 큰 스승을 찾아주는 부모의 마음을 옆보았다.




태허로 돌아간 추사의 하늘을 보며 더 커진 내 영혼을 느끼며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