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과 작은 새
다니엘 문두루쿠 글, 세실리아 레보라 그림, 문세원 옮김 / 푸른길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소년과 작은 새

 엄마와 함께 공원을 거닐던 소년은 나무 아래 풀밭에서 작은 아기 새 한 마리를 발견합니다.
 소년은 엄마의 허락을 받고 작은 새를 집으로 데려와 유치원에 가고, 숙제를 하고, 친구들과 노는 등 여러 일과 속에서도 잊지않고 먹이를 부리에 넣어주는 등 정성껏 작은 새를 돌봐 주며 사랑을 베풉니다.
 어느 새 자란 작은 새는 이제 먹이도 스스로 먹기를 더 좋아하고 소년의 품보다 자유롭게 날아다니기를 원하지만,  소년은 언제까지나  자신의 곁에 머물러 있기를 원합니다.
 “네가 자라서 이 엄마를 떠날 때가 오듯이, 아기 새는 어른이 되고  있는 거야”
 “누구든 어른이 되면 떠나는 법이란다.”
 엄마의 말씀이 가슴에 와 닿지 않던 소년은 어느 순간 자신의 친구(작은 새)는 자유롭게 날아다닐 때 가장행복하다는 것을, 친구가 무엇을 원하는 지를 깨닫고 기쁜 마음으로 작별인사를 나눕니다. 물론 자신도 언젠가는 새처럼 하늘을 맘껏 날아다니며 행복해 할 것을 깨달으며 말이죠!
 작은 새는 아침마다 노래로 소년을 깨웁니다.

 한뼘 한뼘 어른으로 성장해 가는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성장을 다룬 동화로서, 동화 내용의 깊이가 깊을 뿐만 아니라 그림동화라 할 수 있을 만큼 그림도 참 예쁘다. 한 컷 한 컷의 그림은 표정이 살아있고 생동감이 있어 그림동화로서도 손색이 없다.
 여러 동화들이 그렇듯이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가볍고 짧은 동화 같지만 음미할수록 많은 메시지를 함축하고 있다.
 소년은 엄마와 함께 공원을 산책하다가 하늘 높이 자란 공원의 나무들이 참 멋지다고 생각하며 ‘저 나무 꼭대기에 나만의 비밀 장소를 만들면 얼마나 좋을까?’하고 생각한다. 그리고 작은 새를 발견하고 돌보며 사랑하며 키워가는 과정 속에서, 사람은  어느날 갑자기 홀로서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한발 한발 홀로서가는 과정이 있음을 보게 된다.
마마보이라는 용어가 아니라 할찌라도 요즘은 대학생활에도 부모가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부모가 많다고 한다. 성인이 되어서도 경제적으로 정신적으로 성인이 되지 못하고 부모를 의지하여 살아가는 사람이 많은 것을 보면 우리나라 교육이 먼가 잘못되도 많이 잘못된 것 같다. 자녀는 언젠가 홀로서는 성인으로 자란다는 것을 인식하고 독립된 인격체로 온전히 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일진데,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 제대로 인식하는 부모가 별로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작은 새가 영원히 자신의 품에 머물러 있기를 바라는 소년의 모습 또한 우리 부모들의 모습을 대변하는 듯하다. 아이들은 부모의 소유물이나 자신의 못이룬 꿈을 이루어주는 제2의 자신이 아니라는 것이다. 자녀는 완전한 독립된 한 인격체요 부모는 자신의 입장을 자녀에게 주입하기보다 자녀에게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자녀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 녀석이 이 만큼 자랐구나’ 하며 성장해 나가는 내 아이를 보고 문득문득 놀랄 때가 있다. 자녀의 성장에 무지하여 당황하거나 무리하게 그 인생에 개입하여 조종하는 것이 아니라 한 발자국 뒤에 물러서서 지혜롭게 양육하는 성숙한 부모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