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바다 [구판]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3
이광웅 지음 / 예림당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 이 책은 바다에 대해서 소개 되어 있다.
바다에서 알게 된 이야기를 아래 표에 나타내 보겠다.

바다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갓 태어난 46억 년 전인 지구의 대기는 온통 이산화탄소였다. 하지만 지구 속은 온통 난리였다. 무거운 물질이 가벼운 물질을 누르게 되어서 시원한 바깥쪽으로 뚫고 나갔다. 그래서 지구는 대폭발하면서 가스와 수중기 용암을 마구 내뿜었고 지구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위로 올라간 수증기도 식어 염산과 섞여 비거 되엇다. 염산비는 지구 표면의 용암 등을 녹이고 칼슘과 나트륨을 포함하는 바닷물이 되었다. 이 배는 수천년동안 계속 내려서 지금의 바다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최초의 생명체는?

화산 활동과 변개의 방전 에너지는 바다와 호수의 염산에 변화를 주었다. 여기에 태양의 자외선이 작용하여 아미노산과 당분 따위가 생겨났고 이것들이 다시 태양 에너지에 의해 단백질과 핵산으로 변했다. 즉 생명의 근원이 생겨난 것이다. 이것들은 죽처럼 묽은 코아세르베이트라는 물질이 되어 산소를 뿜어내게 되었고 인산 따위와 합쳐지면서 단세포 생물이 태어났다. 단세포 생물은 오랜 새월에 흐르는 동안에 식물과 동물로 갈라졌고 다시 다세포 생물로 진화했다.

바다의 면적은?

바다의 넓이는 361000000 제곱 킬로 미터( 3억 6천1백만 제곱 킬로 미터)나 되며 바다는 지구의 3분의 2를 차지 한다.

열수

뜨겁고 검은 물을 말한다.

고립된 섬

갈라파고스 제도로 이 섬은 땅이 갈라진 것을 보아 격렬한 화산이 폭발하여음을 알려준다.

바닷 속 꽃밭

바닷 속 꽃밭은 산호를 말한다. 산호는 다들 식물이라고 알고 있으나 이 산호는 동물이다.

심해저에 사는 생물들

심해저에 사는 생물들은 바다거미, 삼발이 고가, 거미불가사리, 유리해면, 발광멸류, 풍선 장어, 불룩 눈매퉁이, 슬로 아니 매퉁이류, 초롱아귀류, 바다나리, 해삼 등이 있다.

유빙과 빙산

유빙은 바닷물이 얼어서 생긴 얼음덩어리이고 빙산은 육지에서 언 얼음이 떨어져서 바다로 밀려온 것이다,

해류

바다의 큰 강을 말한다.

이렇게 해서 바다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학수학 개념 별거 아니야 - 중 1, 2, 3학년 개념을 한 권으로 끝내는 중학수학 학습서 중학수학 별거 아니야 시리즈
하지연 지음, 문진록 그림, 배수경 감수 / 동아엠앤비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수학 공부를 하는데 배웠던 소인수분해가 이 책에 나와서 이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먼저 인수와 소인수부터 알아보자.
약수는 다른 말로 원인, 쌓다라는 뜻을 지는 한자 이늘 사용해서 인수라고도 한다. 2나3이 6을 만드는 원인이 되는 수라는 의미이다. 인수와 소인수에게 해서 잘 알게되었다

인수 중에서 소수인 수는 따로 소인수라고 부른다. 글자 그대로 소수인 인수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12의 경의 12 = 2*6, 12= 3*4, 12=1*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12의 인수는 1,2,3,4,6,12이다. 이 중에서 소수 2와 3ㅣ 12의 소인수 인 것이다. 

소인수분해
12를 자연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위와 같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소인수만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12= 2*2*3뿐이다. 이처럼 1보다 큰 자연수를 소수들만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소인수분해라고 부른다. 자연수를 소수들만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소인수분해라고 부른다. 자연수를 소인수분해하면 그 수의 특징을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거나 진법을 공부하는데 유용하다. 소인수분해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소인수분해의 유일성
소인수부해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크기가 작은 소인수부터 차례로 쓴다.
2 같은 소인수의 굽은 거듭제곱으로 나타낸다. 
이런 소인수 분해의 유일성이라고 한다. 
나는 소인수분해의 유일성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다.

나는 소인수분해와 소인수분해의 유일성을 되었다. 인수와 소인수도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2-18 1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evan990908 2012-01-13 12: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감사
 
중학수학 문장제 별거 아니야 - 문장제와 서술형 시험을 대비하는 최고의 중학수학 학습서 중학수학 별거 아니야 시리즈
배수경 지음, 문진록 그림 / 동아엠앤비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을 읽는데 5학년 때 배운 것이고 그래서 더 잘 이해가 잘 되는 것 같아서 이 것에 해서 설명해 보겠다.  

(최대공약수)
개념 : 5학년에 이미 배운 단원이라 낯설지는 않다. 하지만 문장제가 많이 출제되는 단원이므로 그 유형을 잘 인혀두어야 한다. 최대공약수는 잘 알다시피 둘 이상의 자연수를 대상으로 한다. 중학교 과정에서는 두 수 혹은 세 수의 최대공약수를 주로 다룬다.
예를 들어 두 수 12와 18을 생각해보면 12의 약수는 1,2,3,4,6,12, 18의 약수 : 1,2,3,6,9,18 이다.
12와 18의 공통인 약수 즉 공약수는 1,2,3,6이다. 이 중 가장 큰 수는 6인 최대공약수 이다. 최소공약수는 언제나 1이기 때문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이 내용은 5학년 때 배웠을 것이다. 그렇다면 공략 비법을 알아보자 

(공략비법)
최대공양수 문장제의 최대 난관은 최소공배수 문제제와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문제가 이 둘 중 어떤 것인지만 파악해도 훨씬 풀기 쉽다. 하지만 걱정하긴 이르다. 방법은 분명히 있다. 문장제 속에 숨은 단어와 소재가 바로 문제 파악의 핵심이다.
최대공약수 문제임을 암시하는 단어는 바로 가능한 한 많이 최대한 가장 큰 이다. 문제 안에 이 단어들이 있다면 틀림없는 최대공약 수 문제라고 생각하며 된다.
또한 문제의 소재가 모둠 나누기 연필 나누어 주기, 타일 붙이기 같은 것이라면 나눈 것 즉 약수와 관련 있기 때문에 역시 최대공약수 문제이다.
이렇게 해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별 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최대공약수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희 태서 밀레니엄 북스 24
권태문 지음 / 태서출판사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1363년 개경에서 태어난 황희는 고려의 신하였다가 조선의 신하가 되어서 태조, 정종, 태종, 세종인 네 임금에게 예쁨을 받으며 조선시대 관리의 최고 벼슬인영의정까지 몰랐다.
황희는 1449년 벼슬에서 물러날 때까지 18년 간 영의정에 있으면서 훌륭한 정치를 펴 백성들로부터 많은 존경을 받았다.
또한 황희는 맹사서와 더불어 조선시대 청렴결벽한 관리로 꼽히는 분이다. 
나는 이런 황희 정승께 편지를 써보겠다. 

 

황희 정승께 

안녕하세요! 저는 이지희라고 합니다.
황희 정승께 깨서는 고려 말기~ 조선 초기까지 사셨지요?
그 동안 황희 정승께서 하신 일을 책으로 보니 정말 대단하시네요.
정말 조선의 백성들이 황희 정승을 우러러볼만 해요.
아 참!!!
그 거 아세요?
황희 정승께서 90세의 나이로 돌아가셨을 때 온 백성이 모두 울면서 슬퍼했다는 것을요. 
너는 황희 정승의 검소하고 소박했던 생활을 본받고 싶어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알려주세요~!
그럼 안녕히 계세요~! 

2011년 2월 16일 
이지희 올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7 - 조선시대 -상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7
이현세 그림, 유경원 외 스토리,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쓴 작가의 말
나는 신라 천 년의 이야기가 깃던 경주에서 나고 자랐습니다.
옛 무덤과 유물, 유적 등 조상들의 숨결이 머무는 곳에서 살다 보니 역사에 관심이 많았지요.
역사란 흐르로 흘러 또다시 되풀이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까닭은 그 속에서 오늘을 사는 지혜를 배우고 앞날을 내다보는 힘을 얻고자 함이다.
그렇다면 단편적인 지식들을 외우려고 애쓰기보다는 지금 여기까지 우리가 어떻게 흘러왔는지 큰 물줄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도도한 흐름을 이해한다면 역사보다 더 재미있는 공부도 없을 겁니다. 

조선 초기에 조선이 어떻게 생겼는지 또 임진왜란에 대해서 알아보자, 

(조선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고려의 우왕은 고려에 철령위를 설치하겟다는 명나라에 반발하여 최영과 이성계에게 요동을 정벌 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성계는 이 계획에 반대하였으나 최영 장군의 동의로 요동 정벌을 가게 되었다.
이성계는 한참을 가다가 위화도에서 회군을 했다.
조선의 첫번째 왕은 이성계로 고려의 장군이다.
그런데 이성계는 어떻게 왕이 되는 것을 알려주었을까?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을 세우기 전에 이성계는 왕이 된다는 꿈을 꾸게 되었다. 

(임진왜란에 대해서)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에 두 사람이 일본에 통제사로 다녀왔으나 별 일이 없다고 하여 준비를 하지 않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이 전쟁은 일본과 조선의 전쟁으로 백성들, 스님들, 군사들이 모두 힘을 합쳐 승리했다. 

이렇게 해서 조선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또 임진왜란에 대해서 알게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