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곽은우

출판사 : 주니어 김영사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쓴 것이다. 아마 귀양살이를 할 때 썼을 것이다.

그런데 정약용 그는 누구 일까?

정약용은 실학을 연구한 학자이다. 그는 정약용 정조때까지만 해도 충신이었지만 순조는 너무 어려서 할머니가 나라를 다스려서 정약용을 그 때 귀양 시킨 것이다.

목민심서를 보면 김포의 수령이 된 도령은 정약용이 하나 하나씩 알려 주면서 정말 진정한 목민관이 되었다.

그렇다면 그 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볼까?

1. 수령은으로 나가는 사람도 전례에 따리 예사로 돈을 주게 되면 안된다.

2. 동행하는 사람이 많아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공무를 수행하러 가는 것이지 살림을 옮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3. 수령의 가족이 수령의 지위를 누리면 안 되는 것이다.

4. 수령만 밥을 다 먹고 불쑥 일찍 일어나 출발하지고 하면 하인은 방상을 반아 놓고도 먹지 못한 채 출발하기 일쑤이다. 하인들이 때맞취 밥을 먹고 진짓상르 물리면 그 후에야 말에 올라타야 하는 것이다.

5. 말을 빨리 몰면 성질이 경박하고 조급해 보일 수 있으므로 말을 빠리 몰지 말아야 한다.

6. 그리고 행차할 때 좁은 길일 구불구불하게 있어도 절대 뒤돌아보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수령이 뒤돌아보면 말을 타고 잇는 수하들이 진흙덩이에 구불구불한 낭떠러지리 해도 말에서 내려 고개를 숙여야 하기 때문이다.

7. 또 도중에 미처 몸을 굽히지 못한 수하들이 있어도 나무라지 말고 묵묵히 있어야 한다.

8. 수령은 말을 많이 하지도 말 것이며 갑자기 성을 내서도 안된다.

등등 여러가지를 알려주었다.

나는 이렇게 해서 정약용 목민심서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다.

또한 바른 목민관이 어떻게 행동을 해야하는지도 잘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