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 과학백과 - 어린이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편집실 엮음 / 도서출판성우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이번 이 책은 과학백과이다. 그러므로 이 중에게 정확하게 알게된 것을 표로 정리해보았다. 

질문

이유

가위에 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인간의 수면은 렘수면과 논렘수면으로 나눌 수 있다. 보통 잠을 잘 때 렘수면과 논렘수면을 반복하게 된다. 렘수면은 빠른 안구의 운동이라는 뜻으로 눈알이 빠르게 움직이는 시기 이다. 논렘수면 때는 뇌는 완전히 자고 있지만 근육은 활동 가능한 상태이다. 그러나 렘수면 때는 근육이 쉬고 있지만 뇌는 깨어 있어 눈알이 이리저리 움직이고 심장박동이 길어지며 호흡이 거칠어진다. 이 시기에 뇌파를 측정해보면 뇌가 깨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렇게 뇌는 깨어 있지만 근육이 축 늘어져 있어 몸의 잠 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리가 가위에 눌리는 경우는 이런 렘수면 때일 것이다.

선풍기를 틀고 자면 숨지는 이유는

우리 몸은 부분적으로 체온 차이가 생기면 생리 조절을 통해 균형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러나 급격하게 체온 차이가 나게 되면 생리 조절을 할 여유가 없어지고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사람은 특히 잠을 잘 때 체온이 약간 내려간다. 이럴 때 선풍기 바람을 맞을면 체온이 급격하게 내려간다. 체온이 내려가 30도 쯤 되면 혈액에 산소 공급이 줄어 의식을 잃고 25도까지 내려가면 죽는다.

오른눈잡이와 왼눈잡이가 있나요

있다, 우리가 사물을 볼 때 두 누으로 똑같이 보는 것 같지만 사실을 한쪽 눈이 중심이 되고 다른 눈은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이 때 중심이 되는 눈을 주시라고 한다. 주시가 어누 쪽이냐에 따라 사람의 행동 특성이나 운동 능력이 달라진다. (나는 왼눈잡이다.)

관절에서 왜 소리가 나나요

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대개의 경우 근육의 힘줄 부위나 인대가 구부러지는 뼈를 따라가지 못하고 뻐의 경계면 바깥으로 순간적으로 어긋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상적인 경우에 비해 몸을 코게 움직일 때 이런 소리가 나게 된다.

기아에 허덕이는 아이들은 왜 배가 불룩한가요

사람이 살아기기 위해서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등의 영양소가 필요하다. 많이 먹지 못할 경우 뼈만 앙상한 팔과 다리는 바로 이 때문이다. 하지만 배는 오히려 불룩하게 부풀어 있다. 이러한 현상을 기아부종이라 하는데 단백질 섭취가 부족해 혈액 중의 단백질 함유량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인 저단백혈증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저단백혈증은 신체 조직으로 저항력과 회복력을 약화시켜 상처의 치유를 더디게 하고 몸이 붓는 부종이 일으킨다.

봉숭아물이나 매니큐어를 칠하면 마취가 안 되나요

손톱에 봉숭아물을 들이거나 매니큐어를 칠하면 손톱을 보고 혈액 순황 상태를 환인하기가 어려워 긴급한 상황을 빨리 알아차리지 못할 염려가 있다. 때문에 병원에서는 환자를 마취하기 전에 손톱으로 매니큐어를 아세톤 등으로 모두 지우도록 한다.

 

오늘 이 책을 통해 나는 위에 다섯가지 지식은 절대로 빼먹지 않을 것이다, 정말 재미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