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고초려의 뜻을 찾아보면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로 풀이되어 있으며 삼고초려에서 유래된 삼고지례는 사람을 맞이함에 있어 진심으로 예를 다함이라는 뜻으로 설명되어 있다고한다. 그렇다면 이 삼고초려와 삼고지례는 제갈공명과 유비하고 어떤 관련이 있을까?

황건적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지만 조조만큼 권력을 갖지 못한 유비는 싸움터에서 작전이나 계략을 궁리해 낼 사람이 필요했다. 매번 조조 군에게 지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는 왜 제갈공명이라는 사람을 원했을까?

유비는 제갈공명이 자기에게 도움이 될 만한 훌륭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유비는 양양에 있는 제갈공명의 초가집을 찾아갔다. 그러나 제갈공명은 집에 없었다. 며칠 후 또 찾아갔으나 역시 없었다. 세 번째 찾아가서야 겨우 제갈공명을 만날 수 있었다. 이라하여 유비는 세 번째 방문으로 겨우 그를 만날 수 있었으며 바로 이 일에서 삼고초려라는 유명한 밀이 나온 것이다. 아하 삼고초려의 뜻을 잘 몰랐다.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와 제갈공명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몰라 어리둥절했는데 이야기를 듣고 나니 이해가 된다.

유비가 제갈공명의 초가집으로 세 번 찾아가 간청하여 드디어 제갈공명을 군사로 맞아들이 일에서 유래한 말로 인재를 얻기 위해서는 끈기 있게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제갈공명은 유비가 촉으로 세우는데 크게 공헌했으며 유비가 죽자 그의 이들 유선을 도와 촉의 세력을 기르는데 힘을 기울렸다. 중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전략가이며 충신으로 꼽힌다. 

유비가 세 번째에 가기 전까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정말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