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과학동아 2011.2.15 - 4호
과학동아 편집부 엮음 / 동아사이언스(잡지)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정전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이번에 뉴스의 기자처럼 소식을 전하는 형식으로 정전기에 대해서 말해보겠다.  


앵카 : 안녕하십니까? 8시 어린이 동아 뉴스의 OOO입니다. 

30분 뒤.. 

앵카 : 어린이 동아 뉴스를 위해 특종을 찾아 밤낮없이 달리고 있었는데 갑자기 천둥이 마구 치면서 눈앞에서 화려한 번개가 펼쳐지기 시작했습니다. 비가 쏟아질까 봐 급하게 우산을 펴들엇는데 비는 커녕 먼지 같은 화산재만 우산을 부러뜨릴 듯 떨어집니다. 이것이야 말로 마른 하는렝 날벼락일까요? 칠레 차이텐 화산에서 정전기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정전기 기자 : 이럴 수가! 화산이 폭발할 때 번개가 칠 수도 있다니, 놀라운 일입니다. 화산 폭발을 피해 도시로 달려왔느다... 앗 여기도 변개가 치고 있습니다. 번개를 몰고 다니는 이 정전기 기자가 지금부터 번개의 비밀을 파헤쳐 보겟습니다. 번개를 만드는 구름은 수직으로 두껍게 쌓인 적란운이빈다. 물방을 잔뜩 모인 적란운에서 그름 입자가 서로 부딪치면 전자가 이동하게 됩니다. 이 대 전자를 잃은 물방울은 (+) 전하로 얻은 물방울은 (-)전하로 전기를 뙤게 되면서 점점 전압이 높아지지요. 그러다 결국 공기 중으로 전기를 흘려보내는 방전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번개는 바로 방전 현상이 일어날때 보이는 빛입니다, 차이텐 화산에서도 화산을 폭발할 때 나오는 수많은 수증가가 두꺼운 전란운을 만들면서 번개가친 것이라고 합니다. 

앵카 : 네 이상으로 어린이 동아 뉴스를 마칩니다. 

좀 더 알아봅시다.
으로 떨어지는 운석이 번개를 맞아 탈 때 이렇게 UFO처럼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공기에도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이용해 전선사이의 전압을 높여 인공 번개를 만들 수도 있다. 
그렇다면 번개가 어떻게 칠까?
1. 물방울이 부딪쳐 구름의 아래쪽이(-) 전하로 대전된다.
2. 구름이 대전됨에 따라 구름과 비교적 가까운 나무 끝 부분이 (+) 전하로 대전된다.
3. 구름과 나무 끝에 전하가 많이 쌓이면 구름이 있던 전자가 (+) 전하와 결합하기 위해 나무 끝으로 흘러 번개가 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정전기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3-13 2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