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숨에 깨치는 우리문화상식 2
김석호 / 웅진주니어 / 1999년 4월
평점 :
절판


단숨에 깨치는 우리문화상식 2에는 점심, 소금, 배냇저고리 등 여러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간식 정도의 간단한 식사, 점심
    옛날에는 하루의 챙기는 끼니 수가 계절에 따라 달랐다. 19세기 중엽 이규경의 <오주연무장전산고>를 보면 2월 ~ 8월까지 7개월 동안 하루 세끼 9월~이듬해 2월까지 5개월 동안 하루 두끼 즉 해가 긴 여름에는 간단한 점심을 포함하여 하루 세깨 해가 짧은 겨울에는 두 끼를 먹었다는 말이다. 
  2. 우리 나라 고유의 채소 가공 식품
    김치는 무, 배추, 오이 등과 같은 채소를 소금에 절이고 고추, 파 마늘 생강 등 어려가지 재료를 양념으로 버무려 담근다. 채소는 사람에게 필요한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풍부하지만 오래 저장할 수 없다.그래서 채소를 소금에 절이거나 장 초 향신료 등과 섞어 새로운 맛과 향기를 생성시키면서 저장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고 이렇게 해서 김치가 만들어졌다. 
  3. 짠맛을 내는 소금
    소금은 짠맛이 나는 흰 결정체로 화학명으로 염화나트륨 식품명으로는 식염이라 부른다. 소금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아마도 사람이 살기 시작한 때부터 음식과 세계 경제에 매우 중요한 물질이 되었다. 
  4.  배냇저고리는 갓 태아난 아이에게 처음으로 입히는 옷이다. 그래서 배냇저고리는 보온과 우생뿐만 아니라 이기의 혈액 순화도 염두에 두어 만들어야 된다. 
  5. 백중과 비슷한 머슴날
    머슴날은 음력 2월 1일인데 농가에서 머슴들의 수고를 위로해 주기 위해서서 음식을 대접하며 즐기도록 하는 날이다. 

나는 이렇게 해서 점심, 김치, 소금, 배냇저고리, 백중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다. 이제 김치 배냇저고리 백중에 대해서 설명하라 할 때 자신있게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