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교과서 수학 5학년 - NEW 교과서에 맞춘 만화 교과서 5
삼성출판사 편집부 엮음 / 삼성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리스는 수학을 너무나 싫어 하였다. 그래서 숫자를 보면 질색을 한다 나는 그 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수학을 싫어하긴 한다 수학 만화 교과서 1학기 것을 독후감으로 써보겠다. 

1단원 배수와 약수
배수는 어떤 수를 1배 2배 3배 한 수를 말한다.
약수는 어떤 수를 나머지 없이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를 말한다.
8과 12의 공통인 약수 1, 2, 4를 8과 12의 공약수라고 말한다.이 4를 8과 12의 최대공약수라고 말한다.
4와 6의 공통인 배수 12, 24, 36,...등을 4와 6의 공배수라고 말한다. 4와 6의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인 12를 4와 6의 최소공배수라고 말한다. 

2단원 무늬 만들기
2단원 무늬 만들기에서는 옮기기, 뒤집기, 돌리기를 배웠다.
옮기기는 어느 방향으로 옮겨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
뒤집기는 위, 아래로는 모양이 변하지 않지만 왼쪽, 오른쪽으로는 모양이 변한다.
돌리기는 오른쪽으로 90도를 돌리고 또 90도를 돌리고 또 90도를 돌리고 또 돌리는 방법이다. 그러무로 이 도형은 모양이 변한다. 

3단원 약분과 통분
분모와 분자를 0이 아닌수로 나누면 크기가 같은 분수가 됩니다.
분모와 분자를 그들의 공약수로 나누느 것을 약분한다고 한다.
분모와 분자의 공약수가 1뿐인 분수를 기약분수라고 한다.
분수의 분모를 같게 하는 것을 통분한다고 하며 통분한 분모를 공퉁분모라고 한다.
분모가 다른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에는 통분하여 분모를 같게 한 다음 분자의 크기를 비교한다.
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에는 두 분수씩 차례로 비교한다. 

4단원 직육면체
직사각형 6개로 둘러싸인 도형을 직육면체라고 한다.
직육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을 직욱면체의 면이라 하고 직육면체의 면과 면이 만나는 선분을 모서리라고 한다. 또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꼭지점이라고 한다.
크기가 같은 정사각형 6개로 둘러싸인 도형을 정욱면체라고 한다.
직육면체에서 색칠한 두 면처럼 계속 늘여도 만나지 않는 두 면을 서로 평행이라고 하고 이 두 면을 밑면이라고 한다.
직각으로 만나는 두 면을 서로 수직이라고 한다. 직육면체에서 밑면과 수직인 면을 옆면이라고 한다.
직육면체의 모양을 잘 알수 있게 그림을 직육면체의 겨냥도라고 한다.
직육면체를 펼쳐서 평면에 그린 그림을 직육면쳉의 전개도라고 합니다. 

5단원 분수의 덧셈과 뺄셈
진분수의 덧셈은 두 분수를 통분한 다음 분자끼리 더한다
받아올림이 없는 대분수의 덧셈은 두 분수를 통분한 다음 자연수는 자연수끼리 분수는 분수끼리 더한다.
받아올림이 있는 대분수의 덧셈은 분수끼리의 합이 가분수이면 대분수로 고치고 자연수 부분의 합과 더한다.
진분수의 뺄심은 두 분수를 통분한 다음 분자끼리 뺀다.
대분수의 뺄셈은 분수끼리 뺄 수 없을 때에는 자연수 부분에서 1을 받아내림하여 계산한다.  

6단원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직사각형의 둘레)= {(가로)+(세로)}*2
(정사각형의 둘레)= (한 변의 길이)*4
도형의 넓이를 나타낼 때에는 한 변이 1cm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단위 넓이로 사용한다. 이 정사각형의 넓이를 1cm2라고 하고 일 제곱센티미터 라고 읽는다.
(직사각형의 넓이)=(가로)*(세로)
(정사각형의 넓이)=(한 변의 길이)*(한 변의 길이)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1m2라 하고 일 제곱미터라고 읽는다. 1m2=10000cm2 
어떤 도형도 아닌 도형을 2개의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평행사변형의 넓이)=(지사각형의 넓이)=(가로)*(세로)=(밑변)*(높이)
(삼각형의 넓이)= (평행사변형의 넓이) 나누기 (밑변)*(높이)나누기2 

7단원 분수의 곱셈
자연수와 진분수의 곱셈은 직분수의 분자와 자연수를곱하여 계산한다.
대분수와 자연수의 곱셉은 대분수 자연수 부분과 분수 부분으로 나누어 계산하거나 대분수를 가분수로 고쳐서 계산한다.
자연수와 진분수의 곱셈은 자연수와 진분수의 분자를 곱하여 계산한다.
단위분수의 곱셈은 분자인 1은 그대로 두고 분모끼리만 곱하여 계산한다.
진분수의 곱셈은 분자는 분자끼리 분모는 분모끼리 곱하여 계산한다.
대분수의 곱셈은 대분수를 가분수로 고친 다음 분자는 분자끼리 분모는 분모끼리 곱하여 계산한다. 

나는 이렇게 1학기 1단원부터 7단원 까지 미리 예습하니 학교에서는 그래도 할 만 할 것 같다.
그런데도 왜 이리 어려운지......
그 이유가 뭘까?
혹시 계산을 잘 못해서 인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 2011-06-08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