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이나 키워드 - 중국을 움직이는 12개의 동력
최헌규 지음 / 더난출판사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정치대국에서 경제대국으로, 중국의 횡보에 거칠 것이 없다. 한때 중국 땅을 유린했던 유럽 국가들이 중국에 손을 내미는 현상까지 벌어지니 21세기 중국은 그야말로 무소의 뿔처럼 세상을 홀로가고 있는 듯하다. 마치 미국과 경쟁체제를 일으키려는 듯한 언론의 G2분위기는 중국인들의 자존감마저 높여준다. 중국과 관련된 모든 소식은 즉시 세계적인 이슈가 된다. 최근에 밝힌 대북관련 전략도 마치 북한체제의 변화를 먼저 알고 있었다는 듯한 인상을 풍긴다. 그들의 전략이 어떻게 펼쳐질지 자못 궁금하지만 모든 전략은 중국을 우위에 놓고 펼쳐질 것이다.
이제 대한민국은 중국이란 벽을 넘지못하면 정치, 경제적으로 고립될 가능성마저 대두된다. 그런데 우리들은 중국에 대해 무엇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린 중국과 중국인에 무척 편협한 사고를 가지고 있다. 중국관련 서적이 봇물 터지듯이 쏟아져 나오지만 중국의 실상에 대해 거의 아는 것이 없다. 혹 안다고해도 저마다의 이해관계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중국은 어느덧 자신의 입장에 따라 호불호가 분명하게 나눠진 국가가 되었다. 하지만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서도 유독 눈에 띄는 부분이 있다. 중국 경제학자들의 내뱉는 자국관련 발언이다. 이들은 마치 중국만이 세계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G1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서구 언론과 경제학자들의 반발 또한 만만치 않다. 중국이 대세인 것은 분명하나 빈약한 내수기반, 극심한 빈부의 격차, 무엇보다 펀더멘탈이 그리 튼튼하지 않아 중국경제가 서구자본주의를 따라잡기는 불가능하다고 반박한다. 하지만 그 무엇이든 간에 그들이 바라보고 있는 국가는 중국이다.
‘차이나 키워드’는 한국기자가 작성한 중국관련 보고서다. 저자는 중국을 12가지의 키워드로 분류해 보았다. 달러의 침체와 더불어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 기축통화문제다. 더욱이 유로화의 몰락가능성은 위안화를 중심으로 한 팍스시니카의 실현가능성을 더욱 부풀리게 하고 있다. 환율조작국이라는 오명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높아진 위안화의 위상은 중국 내부의 풀어야할 숙제뿐만이 아니라 세계경제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다.
중국을 흔히 사회자본주의라 말한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가 어떻게 희석이 되었는지 무척 신기할 따름이지만 중국을 이해하기위해선 중국공산당을 먼저 알아야한다. 중국공산당은 중국의 모든 정치, 경제문제를 관할한다. 농민을 기반으로 체제를 전복했지만 새로운 황제정치를 시현중이다. 중국공산당은 체제만 인정하면 어떤 자본주의든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한다. 세상에 이보다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 국가는 역사에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문제는 공산당이 추진하는 정책이 형평성을 잃었을 때다. 이미 수억의 농민공과 농민들은 극심한 가난과 대물림으로 체제에 대한 반감이 상당하다. 특히 자본주의에 물든 젊은 세대들은 공산당의 이념과 사상에는 아무런 관심을 두지 않는 것 같다. 하지만 중국공산당은 영구집권을 위한 집요한 시나리오를 구상중이다.
최근 급격한 물가상승으로 중국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그런데 우리들이 생각하는 물가에 대한 기준이 판이하게 다르다. 한국은 수출정책에 대한 물가상승을 용인한다면 중국은 물가상승이 미칠 정치적 파급효과에 상당히 민감하다. 물가는 가난한 농민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입힌다. 그렇지 않아도 빈부의 격차가 극심한데 열심히 일한들 소득이 없다면 불만이 쌓이는 것은 순식간이다. 중국 농촌은 돼지만 있고 돼지고기는 없는 땅이다. 돼지고기가 워낙 비싸 사먹을 엄두를 못내는 농촌의 현실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중국은 마치 거대한 양동이 같다던 저자의 말이 피부에 와 닿는다. 획일적이지만 다양하고 사회주의와 자본주의가 공존하며, 대다수의 소수민족이 소수의 한족에게 군림을 당하는 그야말로 복잡하지만 단순한 모든 것을 포함한 국가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중국은 5000년의 역사를 지닌 세계 최고의 국가들 중 거의 유일하게 존재하고 있는 국가다. 전쟁과 부침의 역사가 중국의 상징이듯이 오뚝이처럼 쓰러질 줄 모르는 중국의 잠재력을 볼 때 우린 중국의 횡보에 대해 더욱 깊은 관심을 가져야한다. 한국의 대중 수출은 거의 절대적이다. 중국은 수출위주를 탈피하여 내수를 살리려는 정책으로 전환중이다. 어쩌면 우리에겐 다시 한 번의 기회가 오고 있는지도 모른다. 중국을 움직이는 12가지의 동력이 주요한 변수가 되리라는 것은 자명하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