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드 라이징
롭 살코위츠 지음, 황희창 옮김 / 한빛비즈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현대인들은 외롭다. 갖은 게 많지만 마음은 허하다. 그럴수록 더욱 손에 무언가를 쥐고 있기를 갈망한다. 현대인들의 이러한 삶의 방식은 곧잘 두려움과 폭력으로 돌출되곤 한다. 아프리카, 남아메리카라고해서 21세기를 벗어나 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극심한 빈곤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극도의 외로움을 겪고 있다. 선진국이라 불리는 국가들이 그나마 최소한의 의료혜택에 몸과 마음을 의지하고 있다면 이들이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들은 철저하게 부서진 조직에서 부서진 개체로 살아남기를 반복하고 있다.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도, 필리핀에서 희망의 빛이 보이고 있다. 세계를 이끌어 온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블루오션을 이끌고 있는 선두주자는 SNS 기업들이다. 이들은 과거 어떤 기업들도 이루지 못했던 성공을 단기간에 그것도 아래에서 위로 이루어내고 있다. 특히 페이스 북의 성공은 예측이 불가능한 IT 시장을 더욱 긍정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애플의 앱 스토어는 수억 명의 기업가를 창출시키며 매일 억만장자를 배출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의 발달,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기업가정신으로 무장한 젊은 기업가들이 중심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왜 SNS가 그동안 저개발지역으로 손꼽히는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남아시아 국가들에게 희망의 빛을 줄 수 있다는 것일까? 인구통계는 항상 부의 이전을 종용해왔다. 단순한 논리일지 모르지만 60년대의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젊은 국가였고 70년대 일본은 전쟁 후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세계2위라는 엄청난 경제기적을 이루어냈다. 이는 80,90년대 한국과 대만, 중국 역시 마찬가지다. 젊음은 그 자체로 국가의 운명을 뒤흔들리게 할 충분한 역량을 지니고 있다. 이제 그 기운이 그동안 핍박을 받았던 저개발 국가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바로 영 월드의 출현이다.

영 월드는 고령화 길에 들어선 올드 월드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사실적으로 SNS는 국가의 통신망이 발달되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려운 사업이다. 하지만 모바일통신을 중심으로 한 무선통신의 발달과 세계 각국의 선진기술을 흡수한 유학세대들이 자국으로 리턴하면서 이상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영 월드의 세계는 진정한 블루오션시장이다. 무주공산의 시장을 누가 선점하느냐는 비단 비즈니스적 접근뿐만이 아니라 비영리단체들에게도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아프리카를 비롯한 저개발 국가들에겐 정보의 비대칭을 중심으로 한 언론탄압이 가장 심각한 문제다. 정보의 비대칭은 정치적 문제뿐만이 아니라 부정부패와 유혈사태, 심지어는 전염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위키노믹스를 추구하는 소셜기업의 창출은 이러한 문제를 가장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 중의 하나다. 크리우드 소싱으로 비전문가들을 공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는 우샤히디는 케냐를 비롯한 아프리카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버드 법대를 졸업하고 사회비평가로 이름을 날리던 인기블로거 오리 오콜로는 정부에 맞설 새로운 웹사이트 개발하기위해 과감히 변호사를 포기하고 고국으로 돌아온다. 그녀는 비영리단체를 운영하며 프로그래밍, 테스팅 등 오픈소스를 중심으로 아프리카의 IT 인재들을 과감히 흡수하여 영 월드의 새로운 모델이 되고 있다. 콜롬비아의 두토, 포루투갈의 마젤란 이니셔티브, 필리핀의 렛잇헬프, 인도의 스릴로필리아와 스타소프트 등도 빠르게 영 월드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영 월드 라이징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을 과감히 부숴버릴것을 요구한다. 누구도 지금의 현재를 부정할 순 없지만 과거는 쉽게 잊어버린다. 저개발 국가들은 선진국들의 방어막이나 시장이 되기를 종용받아왔다. 비단 저자의 영 월드에 대한 이해가 경제학의 효용성측면일지는 몰라도 갇힌 세계의 국민들에게 SNS는 더할 나위가 없는 조건을 만들어주고 있다. 영 월드 라이징은 중국을 노쇠한 국가로 치부하고 있다. 현재 강력한 중앙집권에 의해 세계경제를 좌우하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결국 이러한 형태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반감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것이다. 위구르 사태는 소셜그룹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중국은 고령화와 더불어 보다 개방문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과연 SNS는 이들에게 희망의 빛이 될 것인가? 정답은 예측하기 어렵다. 하지만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슬럼독 밀리언에어는 빠르게 그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시작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영 월드 라이징’ 이젠 젊은 국가에 주목할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