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읽기 시크릿, 법칙 101 - 패턴 뒤에 숨어 ‘세상을 움직이는 법칙들!’
이영직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능해서 승진하는 것일까? 아니면 승진하면 유능해질까? 승진은 개인에겐 좋은 소식이지만 조직에겐 그리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로렌스 피터교수는 조직 내 모든 사람은 무능한 수준, 즉 자신의 능력이 감당할 수 없는 자리까지 오르는 경우가 많다는 피터의 원리를 발표한다. 승진할수록 초심은 사라지고 복잡한 정치적 이해관계에 몰두하여 원래목적을 잃고 무능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위가 높아질수록 이해관계로 얽힌 상황을 잘 풀어나가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공통분모의 법칙이라 하는데 전문적인 능력보다는 전체를 보는 안목과 조직 간의 이해관계를 조장하는 능력이다. 기술적 전문성이 높다고 뛰어난 결정을 내리기는 쉽지 않다. 관료조직의 무능은 위계에 따른 승진이 대부분이다. , 무능한 지도자들이 조직을 장악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사물과 현상에는 원인과 결과 사이에 내재하는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불변의 관계가 존재한다. 흔히 말하는 법칙이다. 법칙은 다양한 형태로 규정되고 표현되는데 법칙을 아는 것은 자연과 인간사회를 보편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는데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간헐적인 사건이나 사고가 대형 사고를 일으킨다는 하인리히 법칙은 사회적 현상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큰 사고 이전에는 분명한 신호들이 나타난다. 쓰촨성 대지진엔 다양한 징후들이 나타났다. 8만 톤의 저수지 물이 갑자기 사라졌고 인근 우물의 수온이 높아졌으며 지진운과 수십만 마리의 두꺼비가 집단이동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정부관계자는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았고 결국 참사가 일어났다. 이익에 눈먼 인간의 어리석은 행동 때문에 최악의 참사를 막지 못한 것이다.

 

세상읽기 시크릿, 법칙 101’은 패턴 뒤에 숨어 세상을 움직이는 효과와 법칙들을 설명하고 있다. 아는 내용들도 다수 눈에 띄지만 상황 전개에 대한 놀라운 발견들을 만날 수 있다. 책은 서술적 기술보단 사건을 통한 이야기가 흥미로운 법칙들의 이해를 도와준다. 저자는 101가지의 법칙을 통해 저마다의 관점을 재해석하는 시간을 가져보길 권장한다. 성공한 자들의 특징은 자신에 의미 있는 법칙을 신조로 삼고 꾸준히 노력해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실패에 대한 고민이나 성공방정식에 목말라있다면 주요 인물들에 대한 법칙 활용은 자신의 성공을 도와줄 특별한 메커니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프랙탈은 자연의 놀라운 법칙을 이해할 수 있는 대칭구조에 관한 설명이다. 눈을 크게 뜨면 우리의 일상이 얼마나 닮아있고 균일한 패턴을 반복하는지를 알 수 있다. 왜 벌은 육각형구조를 선호할까? 원을 중심으로 한 구조가 대부분의 생체에 반영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자연은 공간을 절약하고 재료가 적게 들어가며 무엇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가장 적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자연의 놀라운 현상은 인체에도 적용되며 이는 무질서 속에서 질서를 찾기 위한 자연계의 특징이다. ‘프랙탈은 작은 조각이 전체와 닮은 구조를 가리키는 말이다. 프랙탈은 구름과 같은 유사반복이 특징이며 이는 소립자로부터 우주까지 이해범위를 크게 확장시킨다.

 

간혹 지나간 일에 대해 후회하는 경우가 있다. 만약 그랬었더라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었을 텐데 라는 생각은 삶의 현재를 투영한다. 그때 만약보다 삶에 숨겨진 법칙들을 알고 있었으면 어떤 결과를 만들 수 있었을까? 무수한 성공방정식이 있지만 결과는 몇 가지의 원인으로 기인한다. 세상의 이면에 흐르는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고 공부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개인의 정체성은 사회적 환경에 따라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시크릿 101가지의 법칙은 놀라운 지혜로 가득하다. 한번 읽고 이해한다면 다독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를 권한다. 분명 뜻하지 않는 기회가 자신 앞에 놓일 것이다.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 바라보기, 시크릿 법칙, 101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