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의 과학 - 세상을 움직이는 인간 행동의 법칙
피터 H. 킴 지음, 강유리 옮김 / 심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있는 사회적 관계는 신뢰란 무엇인지에 대한 일상적인 답변을 제공해준다. 신뢰는 가시적이지만 복잡한 내면 특히 도덕적 자아와 공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우선적으로 우리가 매일 접하는 정치인들에 대한 신뢰도를 눈여겨보자. 정치인들에 대한 대중의 신뢰도는 어떻게 바뀌고 생성될까? 정치인을 공인이라 불리는 이유는 일거수가 대중에 각인되어 그들의 판단과 결정이 판단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공정성과 도덕성은 정치인들이 갖추어야할 필수 덕목이다. 우린 도덕성과 공정성이 무너진 정치인들이 얼마나 쉽게 도태되어 사라지는지 알고 있다. 인간은 신뢰라는 믿음위에 존재하며 신뢰가 무너진다면 어떤 사회와 어떤 세상이 도래할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신뢰는 언제 형성될까? 그리고 우린 왜 선의의 거짓말이란 표현까지 사용해가며 자신의 기만적인 신뢰를 사용하는 것일까? 수단이 목적이 되어가고 있는 사회에서 신뢰를 찾는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사회가 각자의 필요조건에서만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사람을 채용하거나 사업을 하는 조건은 서로간의 신뢰가 우선적이며 이를 평가하는 기준은 생각하는 것보다 까다롭지 않다. 인간은 의외로 낯선 이에게 높은 수준의 신뢰를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특히 조건이 일정하다면 타인에 대한 의심보단 신뢰를 선호하는 경향이 훨씬 많다는 것이다. 우린 누군가를 신뢰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는 과거 인류의 생존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타인과의 좋은 관계는 생존방식의 다변화를 만들어주고 현대사회의 긍정적인 관계는 보다 나은 선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린 거의 매순간 신뢰에 대한 의구심을 갖는다. 신뢰가 좋은 방향이라면서 왜 그토록 빠르게 신뢰가 무너지는 것일까? 혹 자신의 기대치가 너무 높은 것은 아닐까? 아니면 신뢰에 대한 신념이 잘못되거나 왜곡 편향되어있지는 않는 걸까? 우리는 어떻게 해서 서로를 신뢰하거나 불신하게 되고, 이런 결정의 바탕이 되는 신념은 왜 그렇게 틀릴 때가 많은 것일까? 우리의 신념은 궁극적으로 우리가 관계를 맺고 노력하고 세상을 탐색하는 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믿었던 사람이나 상황들에 대한 신뢰훼손은 아픈 상처를 남기고 신뢰 회복을 어렵게 만든다. 이는 순간적인 감정뿐만이 아니라 왜곡된 신념을 형성하여 평생 의심이라는 신뢰불감증을 낳기도 한다.

 

무엇이 신뢰를 결정하는가? 무척 어려운 주제다. 개인의 성향이나 관점이 다른 까닭에 서로에 대한 의심은 너무도 당연하지만 사회는 신뢰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신뢰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은 보기 드문 감정 접근법이다. 저자는 우리가 왜 이토록 신뢰에 서투른지 과정을 추적하고 신뢰의 정확한 의미와 이해 그리고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그는 신뢰를 실망시키지 않는 믿음이라 말한다. 믿음은 자신의 신념과 타인의 신념간의 관계다. 신뢰를 결정짓는 특별한 요소로 역량과 도덕성을 말하는데 역량은 누군가에게 과제수행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과 대인관계능력이 있다는 믿음이고 도덕성은 누군가가 용납할만한 일련의 원칙을 지키리라는 믿음이다. 트럼프의 역량과 도덕성은 신뢰가 지닌 이중적인 형태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대중은 그들을 대표하는 리더의 역량을 높이 평가한다면 즉 자신의 편견에 부합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면 도덕성의 파괴를 쉽게 용납한다.

 

우리사회는 신뢰할만한 사회인가? 안타깝게도 정부와 공기업들의 사회적 신뢰지수는 매년 수치를 갱신하며 아래로 추락중이다. 신뢰를 무너뜨리는데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정치인, 경제인 그리고 언론과 미디어 일 것이다. 이들의 역할은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는데 큰 영향력을 미친다. 또한 사회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철학적 주제들은 인간 본연의 도덕적 주제를 쉽게 무너뜨리기도 한다. 이는 권력자의 불공정을 통해 대다수의 시민들이 느끼는 분노다. 인간은 스스로에게 완벽함을 부여하면서 타인에겐 가혹하리만치 엄격한 기준을 제시한다. 만약 타인에 대한 신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세기를 이끌어왔던 종교와 철학적 고찰은 무슨 의미를 가질 것인가? 믿지 못하는 사회는 부정적인 감정보다 훨씬 파괴적인 사회를 만들 가능성이 높다. 타인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시작된 신뢰의 뿌리는 생존하기 위한 인류의 처절한 몸부림일지도 모른다. 신뢰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은 사회를 인식하는 가장 중요한 주제들 중의 하나이자 세상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인류의 근원적인 모습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