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학번 영수를 아시나요?
이정서 지음 / 새움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치의시대를 헤매던 순수의 젊은이들, 85학번 영수를 아시나요?
 
 
 

 


 
 
 
대학에 들어가면 누구나 젊음을 누릴 생각에 스스로의 삶이 빛나 보이지 않던가.

그들 역시 사랑과 이상과 누군가와 더불어 누릴 행복한 미래를 꿈꾸었다.

그만큼 순수했고 그만큼 열정도 있었다.

하지만 그 시대는 '85학번' 젊은이들에게 그런 호사 따위 허락하지 않았다.

깨부술 수 없는 벽처럼 단단하게 버티고 선 채 젊은이들을 가로막았다.

게다가 '85학번'들이 마주한 '벽'은 남다르기까지 했다.

정치와 역사와 함성과 최루탄과 깨어진 보도블록,
거기에 올림픽이 뒤섞인 시절의 벽이었다!

 

 

 

 

 

 

 

 
 
'나(이윤)'는 혼란스러웠던 80년대를 하나씩 아프게 기억해낸다.
처음 닿았던 입술의 감촉에 정신이 혼미해지는 느낌을 전해주던 수연,
이도 저도 아닌 상태로 친구에게 보내버린 여자.
수상한 임무를 부여받고 부대를 오락가락하는 '85학번 영수',
갓 전입 온 이등병 주제에 복명복창도 하지 않던 K대 경제학과 출신.
자대로 내려온 지 5일 만에 부대를 떠난 고문관.
친근하게 말을 걸어주던 이등병 선임 하치우,
소리소문 없이 사라져 뒷목 부근에 피멍이 든 채 나타난 그,

첨예한 정치의식을 드러내지 않은 채 원만한 군 생활을 마치고 제대한 사람.
  
나는 그들과 종횡으로 얽힌, 아프고도 아름다웠던 젊은 날을 추억하며
현재의 삶을 살아간다.

그들에게 낙인을 찍고 그들의 미래 또한 조작해낸 80년대를 너무 차분하게 복원해낸다.

철저하게 시대의 변방에서 80년대를 살아낸 그들은,

젊음이 지난 후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을까.

특히 나 이윤이 제대 후 수소문 끝에 찾아낸 하치우의 정치적 변신은

80년대가 남긴 씁쓸한 풍경을 보여주며 허탈하게 만든다.
 
90년대에 대학에 입학해 노동가를 불러대던 우리에게

80년대 대학에 입학해 그때까지 대학을 다니던 광주에서 온 한 선배가 말했더랬다.

"영혼 없이 부를 거면 아예 입도 뻥긋하지 마라."
 
요즘 영화 <1987> 개봉으로 숨겨져 있던 많은 이의 삶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그들은 웃고 있다. 동료를 배신하고 얻은 삶이다.
그런데 그들에게 돌을 던질 권리가 나에게 있을까, 묻게 된다.
아팠으므로 아름다웠고, 순수했기에 절망해야 했던 그들,
혹시
≪85학번 영수를 아시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