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우리는 왜 책을 읽는 걸까?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 그걸 가르쳐주는 게 책의 힘이다!

 

 

 

 

 

 

 

 

고서점을 하는 할아버지와 단둘이 살고 있는 고등학생 나쓰기 린타로.
린타로는 학교에 가지 않고 서점에 틀어박힌 채 하루 종일 책만 읽는다.
외톨이인 그에게 책은 유일한 친구다.
그런데, 할아버지가 돌아가신다.
늘 그 자리에서 같은 모습으로 홍차를 마시고 책을 읽고 계실 것만 같은데,
할아버지는 숨을 쉬지 않는다, 그리고 어느새 장례식이 끝난다.
린타로는 이제 처음 본 고모와 같이 살게 될 처지에 놓인다.
희귀본이 가득한 고서점을 폐업하고 고모네로 가기로 한 린타로는
책을 폐점 세일하며 고서점을 정리한다.

그런데 갑자기 누군가 그에게 인사를 건넨다.
인간의 말을 하는 얼룩고양이, 그는 자신을 '얼룩'이라고 소개하고는
대뜸 책을 구하기 위해 함께 가달라고 말하는데...
"너는 단순히 머리만 큰 지식인이 되고 싶은 것이냐?
얼룩이의 꾸밈없는 말투가 가슴에 박히는 순간 린타로는 할아버지를 떠올린다.
그는 자신이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알 수 없지만 고양이를 돕기로 마음먹는다.
그런데 고양이는 서점의 어두컴컴한 안쪽으로 린타로를 안내한다.

 

 

 

 

 

 


그곳, 서점 뒤편에 존재하는 이공간, 그 안의 첫 번째 미궁에서
린타로는 읽은 책의 권수로 경쟁하는 자칭 지식인이자 가두는 자를 만나 그를 설득하고자 한다.
"한 권을 열 번 읽는 사람보다 열 권을 읽는 사람이 존경받는 세상이야.
사회에서 중요한 건 책을 많이 읽었다는 사실이지.
책을 많이 읽을수록 사람들을 매료시키고 끌어당길 수 있으니까."
수많은 책을 단순히 읽고 나서는 쇼케이스에 넣어 자물쇠를 채우는 그에게
린타로는 말한다.
"저는 단지 당신이 책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말했을 뿐이에요."
그때까지 청산유수로 자신을 합리화하던 가두는 자는
자신에게 한 번도 맛보지 못한 귀한 시간을 준 린타로에게 고마워하고
린타로는 첫 번째 미궁에서 무사히 책을 지켜내고 현실로 돌아온다.

린타로와 얼룩이는 예상치 못하게 같은 반 반장 사요와 두 번째 미궁부터 함께하게 된다.
두 번째 미궁에는 자르는 자, 책은 줄거리만 읽으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학자가 살고 있다.
베토벤 교향곡 제9번 제3악장을 한껏 볼륨 높여 틀어둔 학자는
바쁜 현대인을 위해 속독법을 개발하고 줄거리를 요약하느라 책을 여기저기 잘라내고 있다.
"지금 시대는 말이지, 어려운 책은 어렵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미 책으로서 가치를 잃어버리고 있네.
누구나 가볍고 편안하게 걸작을 읽고 싶어 하거든. 수많은 책들을 즐겁고 빠르게말이야."
그러나 린타로는 평소 할아버지가 들려주었던 말씀을 떠올린다.
"책을 읽는다고 꼭 기분이 좋아지거나 가슴이 두근거리지는 않아.
때로는 한 줄 한 줄을 음미하면서 똑같은 문장을 몇 번이나 읽거나
머리를 껴안으면서 천천히 나아가기도 하지.
그렇게 힘든 과정을 거치면 어느 순간에 갑자기 시야가 탁 펼쳐지는 거란다."
하지만 음악을 빨리 감기하면 엉망이 되듯, 책 역시 속독하거나 줄거리를 읽는 건
옳지 않다는 린타로의 말에 수긍하는데...

세 번째 미궁, 책을 팔아서 이익만 올리면 되다고 생각하는 팔아치우는 자와 만난 린타로 일행.
그들은 어떤 방법으로 세 번째 미궁에서 책 지키기에 성공할까
그리고 사요가 납치당해 어쩔 수 없이 가야만 하는 마지막 미궁.
린타로는 사요를 구해낼 수 있을까? 그들은 끝내 책을 지켜낼 수 있을까?

 

 

 

 

 

 

 


일본식 아기자기한 논리가 다소곳이 펼쳐지는 소설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다.
일본 소설이나 일본 자기계발서는 정말 평범하고 소소한 데서
꼭 지켜야만 하는 것들을 찾아내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 역시 마찬가지다.
네 번째 미궁에는 깊은 상처를 받은 책 자신이 등장해
'과연 책의 힘이 무엇인가'에 대해 린타로와 설전을 벌인다.
평범하고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말해본 적 없는 린타로는
책과 관련된 사람들과 혹은 책 자신과 이야기를 나누며 책이 가진 힘을 유추해내는 동안
어느새 사람들 틈으로 한 발 들어선다.
결국 판타지 요소를 가미한 린타로의 성장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책이 가진 순수한 측면을 많이 부각시킨 탓에 약간 싱겁고 맥이 풀리는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