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곳으로의 산책 - 청춘, 오래된 미래를 마주하다
예오름(MAFLY) 지음, 이주연 사진 / 로크미디어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낯선 곳으로의 산책

 

 

 


청춘, 오래된 미래를 마주하다!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청춘으로서 인생에 대한 고민을 풀기 위해 떠난 산책길.
낯선 곳에서 만난 인생, 가족, 사랑, 우정, 꿈, 국가 등을 통해
삶을 영위하는 동안 닥치는 수많은 질문들을 풀어본다.

역사는 우리 인생에 대해 과거에서 보내주는 가장 훌륭한 조언이자 의사소통이다.
그래서 작가는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역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중국의 독립운동 유적지로 발걸음을 옮긴다.

 

 

 


상하이의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임시정부는 1번부터 10번까지 호수가 붙은 2층짜리 건물들 중
3번에서 5번까지를 청사로 사용했다.
건물 앞에는 여전히 번호가 붙어 있단다.

 

 

 

 


상하이 루쉰 공원에서 윤봉길 의사를 떠올린 작가는
윤봉길 의사 기념관인 매헌정으로 간다.

 

 

 

 

 

매헌정에서 마주한 윤봉길 의사의 시계.
자신에게 남은 시간은 한 시간밖에 없으니
6원을 주고 산 자신의 시계와 2원을 주고 산 김구 선생의 시계를 맞바꾸자고 제안한 윤봉길 의사.
게다가 마지막 길을 가면서 자신이 갖고 있던 돈을 몽땅 건넸다고 한다.
윤봉길 의사의 시계는 작가에게 삶의 시간은 어떤 의미인지,
시간이 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를 고민하게 만들었다.
나에게도 고민거리를 안겨주었다.
평균 인생의 반절 정도를 이미 지나온 나, 나는 잘 살고 있는 걸까?

 

 

 

 

상하이에서 40분 남짓 고속 열차를 타고 가면 나오는 자싱.
임시정부 요원들의 피난처가 있다.
임정요인 피난처 각 방마다 침대 아래에 여행용 가방이 놓여 있다.
일본군을 피해 몸을 숨기고 있는 상황이니
언제든 짐을 꾸려 도망갈 수 있도록 준비해둔 것이다.
가진 것을 모두 팔아 독립운동에 쓴 사람들,
그들은 독립이 될 때까지는 절대 돌아가지 않을 각오로 삶에 임했다.
생활의 부피를 늘려가려 애쓰는 내 삶을 반성하게 만드는 그들의 삶.
가벼워야 내가 언제든 훌쩍 떠날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풍경이다.

 

 

 

 

상하이에서 시작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26년간 일곱 번이나 청사를 옮겨야 했다.
이후 긴 유랑의 시기를 거쳐 정착한 항저우.
번화가에 위치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에 김구 선생의 흉상이 놓여 있다.
김구 선생은 안중근 의사의 아버지 안태훈 선생을 통해
인생의 스승 고능선을 만난다.
스승 고능선은 청년 김구에게 '결단력'을 강조하며
올바른 처세와 정신을 갖추도록, 민족의 지도자로 성장하도록 초석을 마련해준다.

 

 

 

 

 

 

다롄으로 달려가 뤼순 형무소로 가본다.
감방이 275개나 있어 2천여 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는 형무소.
전시관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죄수들의 옷을 벗어 걸어놓은 신체검사실이 있다.
이곳에서는 죄수들에게 강제 노역을 시켰는데
노역 후 아무것도 옷 속에 숨겨 들어오지 못하게 하기 위해
죄수들의 옷을 전부 다 벗겼다고 한다.
정말 혹독한 고통이었음이 가슴으로 전해진다.
매일 강제 노역을 하고 혹독한 고문을 당하면서도
그들은 대한민국만세를 외치며 꿋꿋하게 버텼다.
고통받고 있는 동료에게 힘을 내라는 응원의 의미이자
굴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의 의지를 보인 것이다.

 

 

 

 

 


임시정부가 시작되었던 상하이부터 시작해 중국 대륙을 한 바퀴 돌아다시 서울로 돌아오는 여정.
익숙한 듯 낯선 곳을 여행하며 삶에서 꼭 한 번 정리해야 할 것들과 고민들을
잔잔하게 마주하게 한 책이다.
'역사를 모르는 민족에게 미래란 없다'는 말이 있다.
우리 아이들에게 딱딱한 역사책만 들이밀기보다는
이런 여행기를 통해 역사를 찬찬히 살펴볼 수 있도록 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