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사회 - 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카롤린 엠케 지음, 정지인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혐오사회-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멸시와 차별의 폭력, 어떻게 끝낼 것인가?

 

 

 

 


햠오, 증오, 분노, 멸시, 차별, 미소지니(misogyny-여성혐오)나
장애인혐오 또는 성소수자혐오 등의 온갖 증오범죄, 넷우익현상...
이러한 각종 혐오는 자연 발생한 게 아니라 사회적으로 형성된 감정이다.
이것은 증상이기에 도덕적 지탄이 필요하다기보다는
그것을 만들어내는 원인을 찾아 순화시키고 소멸시켜야 하는 대상이다.

증오의 표적이 되거나 목격자가 되면
우리는 대개 간담이 서늘해져 입을 다물어버리기 일쑤이고,
쉽게 기가 죽거나, 포악함과 공포에 대처할 방법을 몰라
자신이 무방비 상태라고 느껴 마비된 것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공포 앞에서 입도 뻥긋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이 증오와 멸시가 계속 심화되고 확대되면 결국 모든 사람이 해를 입는 이유다.
구리고 유감스럽게도 이것이 증오가 가진 힘이다.
증오는 제 손아귀에 들어온 존재에게서 일단 평정을 빼앗고
이어서 방향감각과 자신감까지 빼앗아버린다.
이런 상태의 사람들이 많아지면 우리 사회는 구제불능이 될 것이다.
그래서 '혐오'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이상한 증상을 속히 고쳐야 하는 것이다.


 

 

 

 



클라우스니츠 사건을 들여다보자.
집단에 대한 적대감이 고스란히 드러난 이 사건은
'국민'인 바깥의 무리가 버스 앞을 막아선 채
난민들, 두 여성과 아이가 버스에서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일어났다.
나중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난민들을 핍박한 국민들은
자신들의 생계 수단이던 공장을 난민 공공수용시설로 용도 변경하고 닫아버린 기업에 대한 분노를 표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장을 비워버린 힘 있는 자들이 아니라
공장 건물을 필요로 하는 힘없는 사람들을 분노의 표적으로 삼은 것이다.
작가는 이 사건을 촬영한 동영상에서 버스를 둘러싸고 있던 세 부류,
즉 구호를 외치고 고함을 지르는 이들, 그들을 쳐다보고 있는 이들,
그리고 경찰관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펼쳐
증오의 감정이 어떻게 생겨나고 어떻게 퍼져나가 그 대상이 확대되고 어떻게 묵인되는지 등을 고찰했다.

 

 

 

 

 

 

 


"방조도 동조의 일환이다!"
작가는 혐오나 증오가 사회적으로 공모된다는 주방을 펼친다.
즉, 개인적 차원의 혐오나 증오가 극단적 혐오주의 같은 '증오 공급자'들이 키운 편견과 결합하여
누군가를 집단적으로 배제하고 박대함으로써
사회적으로 교묘히 설계되고 공모된 심각한 폭력으로 발전한다는 것이다.
작가에 의하면, 이것은 직접적 폭력이나 멸시의 행위와 다를 바 없으며
나아가 혐오나 증오를 관망 및 방조함으로써 증오에 공모하는 것과 같다는 것.
그리고 더 나아가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는 테러집단 IS의 모습과 닮았다고 열변한다.
논문을 읽는 기분이었지만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개념을 일깨워주는 내용이기도 하다.
우리 사회에도 만연되고 묵인되고 있는 폭력이나 혐오가 분명 있다.
이것이 왜 발생하는지, 왜 확산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좋을지 등의 문제를
충분히 논의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