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읽는 내내 슬펐어요.
잔잔하게 이어나가는 글인데 나는 왜 이렇게 슬펐을까요?

하루하루 기억이 사라지는 걸 느끼며 할아버지는 마음이 급해요.
자신이 죽기도 전에 기억부터 잃어간다는 것,
사랑하는 손자 노아를 떠나야 한다는 걸 어떻게 설명해야 좋을지 몰라 그는 혼란스러워요.
급기야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의 정원에서
아무 두려움 없이 세상과 작별하는 법을 배우게 되지요.

히야신스 향기 가득한 정원에서 할아버지는
젊었던 모습의 아내를 만나요.
자신의 기억이 어찌나 빨리 사라져가는지 그는 여전히 초조해요.
점점 작아져가는 공간, 그건 머릿속 기억이 사라지는 걸 의미하죠.
사별한 아내에 대한 그리움에 그녀에 대한 추억을 더듬다가
문득 그녀를 더이상 기억해내지 못할까 봐 두려워져요.
바쁘다는 핑계로 제대로 돌봐주지 못했던 아들에 대한 미안함도 떠올라요.
기타를 좋아하고 글짓기에 소질을 보이는 테드가
자신처럼 수학을 좋아하지 않아 화냈던 기억은 어느새 쪼그라든 뇌에서 떠나버려요.
할아버지에게 테드는 이제 꼬맹이로 남았어요.

날마다 점점 작아지는 광장에 벤치에 앉아
히아신스의 달콤한 향을 맡으며
할아버지는 수학을 좋아하는 것 말고도 통하는 게 많은 손자 노아와
원주율 놀이도 하고 다정하게 얘기도 나눠요.
노아는 자신의 손을 꼬옥 붙잡고 있는 할아버지에게 물어요.
"제 손을 왜 그렇게 꼭 잡고 계세요, 할아버지?"

어제 아빠가 췌장을 떼어내는 수술을 했어요.
우리 남매들은 번잡하고 번거로우니 아무도 오지 말라는 엄마아빠의 말씀에 따라
그저 소식이 전해지기만 멍하니 기다리고 있었네요.
수술이 끝나고도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아빠를 보며
엄마가 초조해서 정말 견디기 힘들었다고 하시더라구요.
저녁 무렵 남매 대표로 엄마랑 통화를 하는데
엄마가 아빠를 바꿔주지 않는 거예요.
"네 목소리 들으면 아빠가 울 것 같다."
우리 아빤 정말 강한 분인데...
아파도 아프다는 말씀 정말 안 하시는데...
오죽하면 대퇴골 수술 후에도 환하게 웃으셨는데...
이 정도쯤이야 뭐... 라고 하셨는데...
오늘은 눈만 끔뻑이며 있다고, 안 아프다는 말씀을 안 하신다고...
나는 아직 아빠와 이별의 시간을 가지고 싶지 않아요.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처럼 뭔가 받아들이고 준비해야 하는 걸까요.
하지만 나에게는 아직 아빠가 필요해요.
아빠의 손을 가장 늦게까지 붙잡고 있고 싶어요.
아빠 힘내세요.
아빠 사랑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