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시험 - 대한민국을 바꾸는 교육 혁명의 시작
이혜정 지음 / 다산4.0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의 시험

 

 

 

 

 

 

 

대한민국 시험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중심이 되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현재의 사회ㆍ경제 구조가 뒤흔들리고

현존하는 직업의 절반이 20년 안에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일은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은 수용적 학습과 일방적 수업이라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교육학자인 이혜정 「교육과 혁신 연구소」소장은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를 통해

대학 교육의 현실에 경종을 울리고

우리 교육 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에는 대한민국의 초ㆍ중ㆍ고 공교육의 개혁안을 구체적으로 내놓았다.

이 책은 우리나라 교육 문제의 정점에 시험이 있음을 밝히고,

교육 개혁을 가져올 핵심 방안으로 새로운 시험, 즉 ‘시험 혁명’을 제안하고 있다.

시험이 바뀌면 모든 것이 바뀐다!
_대한민국 교육을 바꿔 줄 첫 번째 도미노는 시험

 

 

 

 

이혜정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육공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연구 조교수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 학부와 대학원에서

잘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한 분야를 10년 넘게 가르쳤고,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약 7년간 교수들의 강의를 분석하고 컨설팅했다.
어떻게 하면 잘 가르칠 수 있고 잘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해 주된 관심을 기울여

이와 관련된 철학, 정책, 제도, 교수법 등을 연구하고

국내외 학술지에 꾸준히 논문을 발표해 왔다.

세계 각국 20여 곳의 명문대들을 직접 방문해 교육정책담당 기관장들을 인터뷰하면서,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개별 교수부터 대학 기관까지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했다.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학습 방법이 갖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최초로 연구하고,

이를 통해 우리 대학 교육의 현실과 문제를 예리하게 포착했다.

특히 미국 앤아버의 미시간대학교에서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특징이 미국 대학생들과 어떻게 다른지

국가·문화·대학교육 시스템 등을 비교연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