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본깨적 - 평범한 직장인이 대체 불가능한 프로가 되기까지
박상배 지음 / 다산3.0 / 201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성과의 차이를 만드는 업무 실행력 8주 프로젝트 현장 본깨적 

 

 

 

 

 

 

 

현장 본깨적.아직 책이 나오기 전이라 가제본으로 받았다.

박상배 작가의 전작 본깨적도 읽었던 터라 기대감 물씬물씬.

역시 나태한 나를 아주 평탄한 어조로 자극해준다.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이랜드 직원들의 업무진행법이라고 들었는데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이번에 나온 현장 본깨적은

자신이 하는 일의 현장을 제대로 이해하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관점으로 업무를 분류하고,

성과 방해 요인들을 제거하여 성과를 극대화하는 프로젝트로,

현장이 중심이요 그 무대이다. 

 

 

 

 

 

 

 

 

일 잘하는 프로들의 공통점 :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 해결하고 개선하려 한다.

, 본깨적을 무의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주어진 일을 하면서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린다.

, 멈추거나 머물러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동료 본깨적으로 조직 생산성을 올리는 방법을 설명해둔 부분에서 보여준 본깨적.

이 방법을 읽고 나면 본깨적의 실행방법을 처음 접하는 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이야기 중에서 특히 내가 공감한 부분이 바로

'자기규정이 곧 실행력이다'라는 꼭지였다.

현장 본깨적 적용의 무대인 현장이 곧 내 가정이 되는 순간이다.

자기규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태도와 행동이 달라진다.

이는 자기규정에 따라 자신에 대한 한계가 생겨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행력을 높이고자 한다면 부정적인 자기규정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나는 의지가 약한 사람이다, 라는 부정적 규정 대신

나는 무엇이든 질해낼 수 있다, 라는 긍정적 규정을 함으로써

자신의 한계치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중요하겠다.

이 부분은 나뿐만 아니라 이제 고등학교에 입학할 딸랑구에게도 적용시키고 싶은 부분이다.

 

 

 

 

 

 

 

 

 

긍정적인 자기규정을 했음에도 실행력이 부족하다면

'작심삼일' 프로젝트를 도입해도 되겠다.

이때의 핵심은 포기하지 않는 것.

포기하지 않고 작심삼일을 반복해 계속 시도하여

성공에 이르는 작전을 쓰는 것이다.

자기규정과 작심삼일을 교묘히 연결시킨 나에게 칭찬칭찬^^

 

 

 

 

 

 

 

 

 

 

지속적 작심삼일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을 때 시도할 방법이 또 있다.

바로 공개 선언.

, 자신의 결심이나 약속을 다른 사람 앞에서 공개적으로 선언하여 실행을 강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개 선언은 스스로 비상구를 봉쇄함으로써

물러날 여지를 주지 않고 도망칠 기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뒤로 물러날 곳이 없으니 실행력은 저절로 좋아질 수밖에 없겠다.

 

 

보고 깨닫고 적용하는 현장 본깨적.

나라는 개인을 일차적 현장으로 삼아 본깨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깨달음을 얻게 해주었기에 무척 고마운 책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솔직 후기입니다.

 

 

일 잘하는 프로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은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 해결하고 개선하려 한다.

동료본깨적

자기규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태도와 행동이 달라진다.

작심삼일, 포기하지 않고 계속 시도하면 성공할 수 있다.

공개 선언은 스스로 비상구를 봉쇄하는 것과 같다. 물러날 곳이 없으면 실행력은 저절로 좋아질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