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현대지성 클래식 48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리뷰] 세계고전문학 알베르 카뮈 이방인

죽음 태양 부조리 진실된 삶



이방인

알베르 카뮈 지음 윤예지 그림 유기환 옮김 현대지성 펴냄

이해하고자 들자면 십분 이해할 수 있는 성격이지만 일반적 혹은 통념에 비추어 특이한 인물들이 있다. 알베르 카뮈의 실존주의 문학 “이방인” 속 뫼르소가 그렇다. 질문하지 않는 사람 뫼르소, 질문에 대답하기로 일관하는 뫼르소. 이는 세상사에 무심하기 그지없는 그의 성격을 제대로 보여준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어쩌면 어제, 잘 모르겠다.

어느 날 뫼르소에게 엄마의 죽음 소식이 전해진다. 이것은 그에게 그저 일상의 연장이었다. 그랬기에 그는 엄마의 죽음이 오늘인지 어제인지 연연해하지 않는다. 엄마의 죽음에 슬퍼하거나 오열하지도 않는다. 여느 일요일과 다름없는 일요일 하루가 지나갔고, 엄마의 장례식이 끝났고, 내일이면 다시 일을 시작할 것이고, 결국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나는 생각한다. 장례식 후 뫼르소는 옛 동료인 마리와 마주쳐 함께 코미디 영화를 보고 밤을 보낸다. 이 역시 그에겐 그저 그런 일상이었으나 사회적으로는 이해받지 못할 행동이었다. 이러나 저러나 마찬가지라고 느끼고 말하는 그는 사람들에게 냉혈한이요 무뢰한이며 사회적 이방인으로 비친다. 


 




레몽을 노리는 아랍인 패거리 중 한 명을 권총으로 쏘기 직전, 뫼르소는 엄마를 떠올린다. 엄마의 장례식 날과 똑같은 태양. 법정에서 뫼르소는 자신이 총을 쏜 경위에 대해 적극 해명하지 않는다. 그저 햇빛에 눈이 부셔서 방아쇠를 당겼다고 말한다. 감옥에 갇혔을 때도 그는 엄마를 떠올린다. 엄마는 종종 누구라도 완전히 불행해지는 법은 없다고 말하곤 했었다. 그는 끊임없이 새벽과 항소를 생각했지만 결국 항소를 포기했다. 그런데 왜 나는 자신의 삶과 생각을 적극적으로 해명하거나 옹호하려고 들지 않는 뫼르소에게 화가 나지 않을까? 



살인죄로 기소당한 채 어머니의 장례식에서 눈물을 흘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형당한들 그게 뭐가 중요해?

동일한 상황에 대해 누구는 A라고 판단하고 누구는 B 또는 Z라고 판단한다. 판단하는 이의 마음은 제각각이지만 B에서 Z까지의 판단은 사회적 관습의 허용 범주요 A는 그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기이한 일로 치부당하고 공격 대상이 된다. A는 틀리지 않았음에도 옳지 않다고 평가 당한다. 이 얼마나 부조리한가! 

뫼르소는 어머니를 도덕적으로 죽인 자는 아버지를 자기 손으로 살해한 자와 마찬가지로 인간 사회를 저버리는 사람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알베르 카뮈는 자신의 소설 "이방인" 속 뫼르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내가 보기에 뫼르소는 표류물이 아니라 어둠을 남기지 않는 태양을 사랑하는 인간, 가난하지만 가식 없이 솔직한 인간이다.' 하나의 죄를 저지른 뫼르소는 그 일 자체가 아니라 A라고 생각한 일, 엄마의 장례식에서 울지 않았다는 이유로 전반적인 인성을 의심받고 사회적 비난을 받고 재판을 받고 사형 선고를 받은 것이다. 뫼르소는 자신의 재판 과정에서도 배제당한다. 모든 게 나의 참여 없이 진행되었다. 세상은 이토록 허위로 뒤덮여 있고 부조리하다.

뫼르소는 예심판사와 사제가 강요하는 ‘신’에 대한 신앙, 사제의 면회를 거부했으며 그저 죽음을 기다린다. 모두가 다 선택받은 특권자야. 이 세상에는 선택받은 특권자들밖에 없어. 다른 사람들 또한 언젠가 단죄받을 거야. 당신 또한 단죄받을 거야.죄를 털어놓고 회개하라고 말하는 사제에게 뫼르소는 자신의 죽음이야말로 허위적 삶이 아닌 진실된 것이라고 소리친다.

삶을 단순화하려고 하지 않았던 뫼르소, 실제 있는 그대로 말하고,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않는 그였기에 사회는 그에게서 위협을 느꼈음이다. 관행을 거부했던 그는 죽음이 확정된 후 오히려 평온을 되찾는다. 그리고 왜 엄마가 삶이 끝날 무렵에 ‘약혼자’를 가졌었는지, 왜 삶을 다시 시작하는 놀이를 했었는지 어렴풋이 이해한다. 엄마도 자신처럼 죽음 가까이에서 엄마는 해방감을 느꼈고, 모든 것을 다시 살아볼 욕망이 일었음이 틀림없었다. 그리고 나 또한 모든 것을 다시 살아볼 준비가 되었음을 느꼈다.



세계고전문학 “이방인”은 살인범이자 아주 무자비한 인간으로 규정된 뫼르소를 통해 권력자들이 인간을 어떻게 지배하고 처리하는지를 보여준다. 뫼르소가 무죄라는 레몽의 증언은 묵살되고 흘러간다. 자신들이 만든 틀에 갇히지 않은 자, 어떤 의미로는 이방인인 자들은 그저 계도의 대상이다. 뫼르소가 그 대표적 인간, 즉 이방인이다.

그렇다면 실존주의 철학가이자 부조리 문학의 대표 작가인 알베르 카뮈가 소설 속에서 규정한 ‘이방인’은 누구일까? 아랍인? 뫼르소? 어쩌면 관행을 거부했기에 나쁜 놈이어야만 하는 뫼르소에게는 자신을 제외한 모든 이가 이방인? 시점에 따라 누구든 이방인일 수 있다. 어쨌거나 소설 “이방인”의 주인공은 뫼르소이므로 초점은 그에게 맞춘다. 

권력, 부조리, 온갖 허위로 뒤덮인 사회에 휩쓸리거나 타협하지 않고 스스로 택한 삶을 살아가려고 한 뫼르소, 무심한 성격인 그는 희한하게도 레몽과 금새 친구를 맺고 그를 위해 편지를 써주고 증언도 한다. 마리를 사랑하지 않지만 그녀가 원한다면 결혼하겠다고 말한다. 이는 자신과 별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했고 저신이 그리한다고 해서 크게 달라질.게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이게도 뫼르소는 자신의 일, 즉 사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을 변론하는 데는 나서지 않는다. 거짓을 말하려 하지 않고 포장하려 들지 않는다. 보통의 사람으로선 분명 자신의 무고를 증명하려 들었을 일에 그는 그리하지 않는다. 이것이 뫼르소를 이방인이라고 하는 하는 큰 이유가 아닐까 싶다. 부조리의 삶에 저항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발견해가는 뫼르소. 뫼르소는 스스로의 선택으로 삶의 방향을 선택하고 세계의 다정한 무관심에 가슴을 연다. 세계가 그토록 나와 닮았고 그토록 형제 같으매 나는 전에도 행복했고, 지금도 행복하다고 느꼈다.

일러스트가 담긴 알베르 카뮈의 짧은 소설 고전문학 “이방인”. 리뷰를 완성하기까지 얼마나 고민스러웠는지. 예전과 지금의 독서는 제법 온도 차가 있구나 싶다. 짧은 소설에.무슨 할 말이 그리 길어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야 했을까. 참 대단한 작가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카뮈, 그의 소설을 더 읽어보겠다!



#이방인 #알베르카뮈 #현대지성 #오늘엄마가죽었다

#뫼르소 #부조리소설 #책리뷰 #세계고전문학 #실존주의문학

#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