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동물학적 인간론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털 없는 원숭이, 호모 사피엔스 동물학 보고서



 

 



 


털 없는 원숭이! 이건 인간을 뜻하는 거겠지? 음... 그럼 바로 내 이야기겠다. 인간을 하나의 종, 하나의 동물로 보고 논의한다니! 좋다. 결국 인간이라는 동물은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특별한 속성을 지녔다는 뜻일 테니까. 인간을 동물로 논의하는 것을 두고 인간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행위라는 비판은 삼가주시라. 책에 참고문헌이나 각주, 색인이 빠졌다는 이유로 학자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인간을 타락한 천사가 아니라 부활한 원숭이로 보았다는 이유로 종교를 모독한다는 비난을 받고, 일개 동물학자가 유전자니 뭐니 하며 떠들어댔다며 펀치를 당했던 데즈먼드 모리스의 이 책 "털 없는 원숭이"는 출간 50년이 훌쩍 지나도록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 중이란다. 그렇담 '인간을 짐승처럼 만들었다'는 비난은 사그라들었을까. 그럴 리가 없지! 그러거나 말거나, 그럼 가보자. 지금까지 지구상에 살았던 모든 동물 종 가운데 가장 비범하고 놀라운 종, 인간에 대한 탐구 속으로!

 

 

 


털 없는 원숭이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문예춘추사 펴냄

 

 

 

오늘날 지구상에는 193종의 원숭이와 유인원이 살고 있다. 그중 192종은 온몸이 털로 덮여 있고, 단 한가지 별종 이른바 호모 사피엔스를 자처하는 털 없는 원숭이가 있다. 이 털 없는 원숭이가 걸어온 특별한 진화의 역사를 데즈먼드 모리스는 과연 눈으로 바라보았을까.

숲속의 원숭이는 땅 위로 내려와 지상 원숭이가 되었고, 지상 원숭이는 사냥하는 원숭이가 되었으며, 사냥꾼 원숭이는 영역을 가진 원숭이가 되었고, 이 원숭이는 다시 문화적 원숭이가 되었다.

 

 


털 없는 원숭이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초식성과 새로 획득한 육식성을 혼합하기 위해 
어느 정도까지 자신을 변화시킬 수 있었는가? 
그 결과, 털 없는 원숭이는 정확히 어떤 종류의 동물이 되었는가?


 

 


 

 


읽던 중 놀랍고도 비극적인 이야기에 도달했다. 생물학적 도덕률에 대한 것이다. 어떤 개체군의 밀도가 한계에 달하면 사회구조 전체가 파괴된다고 한다. 밀도가 높아지면 동물들은 병에 걸리고, 새끼를 죽이고, 난폭하고 싸우고, 자기 몸을 불구로 만드는 자해행위를 한다. 어떤 행동도 끝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모든 것이 산산조각으로 부서진다. 결국 많은 동물이 죽어서 밀도가 낮아지면 다시 번식을 시작할 수 있게 되지만, 그 전에 반드시 비극적인 대격변을 거쳐야 한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일까? 현존하는 사회구조를 무너뜨리지 않은 채 출산율을 낮추어야 한다느 것. 질적 향상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양적 증가를 막아야 한다는 것. 이는 이 책이 50여 년 전에 쓰여졌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일까? 아아, 그래야 할 것이다. 이미 지구는 스페인독감이니 코로나19니 전쟁을 겪음으로써 인구가 조절되지 않았던가. 게다가 저출산은 또 어떠한가. 이미 이루어졌음이다. 이것들이 어쩌면 인구 밀도를 낮추기 위한 자연의 섭리였을까? 겨우 몇 나라에 지나지 않는 현상일까? 영장류 중에서 머리 쫌 쓴다는 인간은, 어쩜 이리도 나약한 존재일까.

 

 

 

경쟁과 지배는 영장류 세계의 독특한 풍조다.
호모 사피엔스, 얼마나 위대한 이름인가! 그런데 이 위대한 종을 순전히 동물의 각도에서 논하려는 접근방식을 생각해낸 동물학자, 이미 아흔 살이 넘은 데즈먼드 모리스는 "털 없는 원숭이" 3부작으로 대중과학서의 본때를 보였음이다. 제1장은 '기원'이다. '놀랄 만큼 강렬하고 극적인 진화'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제2장 '짝짓기'에서는 '강력하지만 완벽하지 않은 성애'를 주제로 하여 인간의 성적 몰두에 대해 이야기한다. 제3장의 '아이 기르기'에서는 가르치고 모방하는 털 없는 원숭이의 탁월한 능력, 제4장' 탐험'에서는 새것을 좋아하는 것과 새것을 싫어하는 특성으로 균형감을 가지는 인간을 말한다. 제5장 '싸움 : 달아나고 달려들려는 충동'에서는 공격의 궁극적 목표가 지배임을 밝히고, 제6장 '먹기 : 결코 변하지 않는 식습관'에서는 영장류의 기회주의적 식습관을 조명한다. 제 7장 '몸손질 : 털손질의 독특한 대용품'에서는 털손질이 가지는 의미를 파헤친다. 마침내 제 8장 '다른 동물들과의 관계 : 공생과 경쟁, 애정과 증오심'에 이르기까지 데즈먼드 모리스의 "털 없는 원숭이"는우리 인간이 타고난 동물적 특성을 속속 파헤침으로써 인류는 그야말로 특별한 동물임을 서술한다.

 

 


 

 


체온 조절을 위해 꼭 필요한 영장류의 털을 과감히 없애버린 털 없는 원숭이, 인간. 이 독특한 생물체를 동물학적 인간론으로 살펴본 대중과학서 50주년 특별판 "털 없는 원숭이"를 만나 보니, 오래도록 읽히는 책은 확실히 이유가 있음을 다시 한 번 깨닫는다. 데즈먼드 모리스는 몸에 털이 없어지고 직립보행을 하게 된 털 없는 원숭이를 하나의 동물 종으로 보고, 다른 영장류보다 조금 특별한 성생활과 문화 및 사회적 습성 등을 짚어가며 인간의 동물적 본성을 자연스럽다고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을 권한다. 최재천 교수와의 인터뷰에서 보인 팬데믹에 대한 저자의 답변을 보니 그의 "인간 동물원"도 궁금해진다.

인간은 진화에 성공한 유일한 영장류로 오래도록 남을 수 있을까. 새처럼 말을 배우지도 못하는 영장류지만 그중 몇천 년 몇만 년 후 어쩌면 특별한 각성 과정을 거쳐 진화에 성공하는 종이 나타날 수도 있을 터. 인간은 우리에게 닥친 작금의 위기를 잘 극복하고 앞으로 노출될지도 모를 새로운 충격에 맞설 수 있도록 끊임없이 경쟁하고 발전해야 할 숙명도 가진 셈이라 하겠다.

 

 


출판사 지원도서*
#털없는원숭이 #데즈먼드모리스 #문예춘추사 #동물학적인간론 #포유동물 #호모사피엔스 #영장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