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거울이 될 때 - 옛집을 찾았다. 자기 자신을 직접 이야기한다. 삶을 기록한다. 앞으로 걸어간다.
안미선 지음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미선 에세이, 집이 거울이 될 때

 

 

 

 


어딘가에서 그때의 나를 만날 것 같다. '누구세요?' 나를 올려다보는, 한참 놀고 있던 아이와 마주칠 것 같다. 그 생각을 하자 마음이 뭉클해진다.

 

나의 어릴 적 집을 떠올리자면 미소가 절로 난다. 새로 지은 그 집에 들어가고 며칠 있다가 막내가 태어났다. 사실 며칠인지 몇 달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빵빵하게 불러 있던 엄마의 배가 쑥 꺼진 건 여튼 새 집으로 이사를 마치고 나서였다.

육남매가 북적댔던 그 집. 다락방은 오빠 차지였지만 오빠가 없는 시간이면 난 늘 그 다락방을 차지하고선 문을 걸어잠갔다. TV도 아래서 보면 될 것을 다락방에 딸린 방 쪽으로 난 창을 열고 내려다보곤 했다. 내 동생들은 그런 나를 원망의 눈길로도 보고 선망의 눈길로도 보았더랬다. 그때의 난 그 기분을 즐겼음이다. TV 보기를 즐기지 않았음에도 굳이 창문으로 얼굴을 내밀어 TV를 보는 척했으니까. 그때 내 머릿속을 부유하던 생각들은 오직 '내 방' 이었던 것 같다. 어떻게 해야, 어디를 방으로 삼아야 다락방보다 멋진 방이 될까. 아이가 여섯에 할머니까지 계셨으니 언감생심이었을 그 꿈을 이루려고 나는 머릿속에서 얼마나 수없이 집 구석구석을 상대로 방을 막고 부수고 했던가.

 

 

 

 

 

 

 

사진으로 마주하자 지금의 나는 어른이고 그 얼굴은 내가 지켜주고 키워 내어야 할 여전히 그 자리에 있는 아이의 모습 같았다.

 

코로나19 시국으로 우리는 갑자기 '집'에 '갇혀버렸다'. 너무나 급작스런 사태라 평소 그리도 머물고 싶은 공간이었던 '집'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마저 들고 있다. 그러나 집은 여전히 우리에게 '안전한 공간'이다. 안미선 저자도 그랬다. 팬데믹을 계기로 집에 머물면서 사진과 글로 집을 기록하게 된 그녀는, 이를 기회로 자신이 그동안 저작해온 르포와 인터뷰집 등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내밀한 목소리를 들려준다.
'집'이라는 단어에서 내가 나의 어릴 적 집을 떠올렸듯이 저자 역시 시간을 함께 지내 온 가족들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물론 가족에 대한 감정은 간단한 느낌으로 규정할 수 없음이다. 철거가 예정된 고향 집을 기록하면서 자신의 유년 시절의 어두운 기억을 정리하는 저자. 그녀는 그 과정을 통해 가족과의 화해, 많은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화해, 특히 자신과의 화해에 이르고자 한다. 그녀의 여정은 과연 잘 진행될 수 있을까!

 

 

 

 

 


그래. 너는 이곳에 있었지. 남아 있는 방이 나를 위해 장담해 주기를, 고개를 끄덕여 주기를, 그래서 나를 붙잡아 주기를 바랐다.

 

유년 시절의 그림자를 해방시키고, 팬데믹 시대의 역할에서의 해방을 염원하며 꾸준히 행진하는 저자 안미선. 어린 시절 그녀의 기억 속에서 해방되지 못한 채 갇혀 있는 교실 속 친구들이, 성폭력 등으로 괴로워했던 사람들이, 자신에게 함몰된 채 아직 기지개를 켜지 못한 소외된 사람들이 이 글을 읽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글을 썼다는 저자의 행진이 부디 아름답게 마무리되기를... 작은 중얼거림으로 응원해본다.

 

 

 

선물답은 도서*

#집이거울이될때 #안미선 #민음사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