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과 종교의 세계사 - 교과서만으로는 배울 수 없는 인류의 사상사
데구치 하루아키 지음, 서수지 옮김 / 까치 / 2021년 6월
평점 :
철학과 종교의 세계사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706/pimg_7918311083009812.jpg)
태초부터 인간이 품었던 물음이 있으니 그 하나가 '세계는 어떻게 생겨났고 또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요 또 하나가 '인간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며 무엇을 위해 사는가?'다. 이 물음에 답한 것이 종교이며 철학이며 철학에서 파생한 자연과학이었다. 저자 데구치 하루아키는 특히 자연과학 중에서도 우주 물리학과 뇌과학 둥이 이 질문들에 최종적인 해답을 풀어내고 있다고 본다. 즉, 세계는 어떻게 생겨났느냐는 물음을 우주는 어떻게.생겨났느냐, 하는 물음으로 치환해 빅뱅이론으로 대답한다.여기서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는 굉장히 우주과학적이면서도 다소 감성적인 문장이 탄생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무엇을 위해서 사는가. 이는 우리가 동물이라는 관점으로 대답 가능하다. 우리는, 인간은 다음 세대를 남기기 위해서 살아간다. 이로써 인간이란 모든 행동과 사고를 뇌 활동에 의존하는 동물이라는 사실에 이른다.
인간에게 말이 생겨난 이후 모든 것이 생겨났다!
지금으로부터 약 20만 년 전 동아프리카 지구대에서 태어난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서로 간의 단순한 의사 소통을 위해서가 아닌 머릿속에 떠오르는 수많은 것을 정리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했기에 언어를 만들어냈다.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를 획득함으로써 인간은 세계와 자신의 존재에 대해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게 되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706/pimg_7918311083009821.jpg)
더 맛있고 풍부한 식량을 찾아 동아프리카로부터 세계 곳곳으로의 대여정에 나선 인류는 점차 정착생활로 사고를 바꾼다. 주변 지역을 지배하고자 마음을 바꾼 것이다. 인류의 정착생활은 세계 지배의 시작을 의미한다. 그리고 주위의 대상을 하나씩 차례로 지배하던 인간은 더 나아가 자연계를 움직이는 원리에 대한 지배 욕구를 품기 시작한다. 누가 태양을 뜨게 하는가, 누가 사람의 생사를 주관하는가에 생각이 미친 인간들은 이로써 종교를 일으킨다. 모든 종교의 뿌리라 할 인류 최초의 종교, 조로아스터교의 탄생이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706/pimg_7918311083009822.jpg)
기원전 5세기 전후 철기가 전 세계로 보급되면서 지구온난화가 시작되었다. 이는 잉여작물의 대량생산을 불러 사람들 간의 빈부격차 발생으로 이어졌다. 이제 인류는 먹고살기 위해 농사를 짓는 가난한 사람, 부유한 사람에게 붙어 문화를 즐기고 별의 움직임을 좇는 유한계급으로 나뉘다시피 했다. 유한계급인 예술가와 지식인들은 지식의 폭발로 철학적 사고를 널리.펼쳐나갔고 이들은 이내 '세계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하는 대답을 찾아 골몰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보자니 배고픈 소크라테스는 어불성설인가? 서양철학의 근간을 이룬다는 소크라테스나 그에게서 가르침을 받고 훗날 소크라테스에 대한 집필에 힘썼던 플라톤이 들으면 땅을 치려나?
그리스에서 지식의 폭발은 아르케(만물의 근원)의 탐구를 불러왔고 탈레스(물), 헤라클레이토스(만물유전), 엠페도클레스(4원소), 데모크리토스(아톰), 피타고라스(숫자)를 건너 엘레아 학파의 창시저인 파르메니데스(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로 이어졌다. 또한 지식의 폭발은 인도에서는 붓다와 육십이견을 거쳐 아지타 케사캄바린의 4원소, 중국에서는 공자와 노자 등에서 나타났음이니 음양오행설이 그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706/pimg_7918311083009823.png)
인간의 생각은 언제나 그 사람이 사는 시대 환경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말의 무게에 진위를 따지는 일 따위는 접어두자.
고대 철학은 소크라테스 전과 소크라테스 후로 나뉜다, 서양의 모든 철학은 플라톤 철학의 각주에 불과하다, 는 말이 있을 정도의 유명 철학자들의 이야기며 곁가지 이야기들이 인간이 던진 물음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함께하는 "철학과 종교의 세계사". 고대의 탈레스부터 현대의 레비-스트로스까지, 그리고 서양에서부터 동양까지 방대한 사상들 가운데 핵심만 쏙쏙 뽑아놓은 모양새다. 책 곳곳에 등장하는 연표를 들여다볼 새도 없이 사상가들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을 기반으로 주요 인물들의 관계를 따라 가다 보니 그저 푹 빠져 읽었고, 급히 책장을 넘기다 보니 어느새 책이 끝났더라... 하고 쓴다.
환갑의 나이에 세계 최초로 인터넷 생명보험을 시작한 데구치 하루아키. 그는 그 성과가 철학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 철학, 생각하는 힘 말이다. 인류의 사상 3천 년 흐름을 한 권으로 응축한 대중철학서. 동서양의 사상을 은근히 비교하거나 엮어둔 부분이 많아 흥미롭다. 중고등학교 때 도덕 윤리 시간이 이렇게 재미있었다면 내 역사도 달라지지 않았을까, 잠시 상상에 빠져본다. 자, 그럼 아까 너무 빨리 넘겼던 부분으로 나는 다시 돌아간다.
출판사 지원도서*
#철학과종교의세계사 #데구치하루아키 #까치 #철학자 #사상가 #인문교양 #인류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