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말 - 포스트코로나, 공자에게 길을 묻다
최종엽 지음 / 읽고싶은책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의 말, 포스트코로나 시대 공자에게 길을 묻다

 

 

 


예전이나 요즘이나 리더십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이 중 한 사람이 공자다. 열다섯 살에 평생 공부하며 살겠다고 결심한 공자는 서른이 되었을 때 학문적, 경제적, 사회적 독립을 이루었고 무려 2,500년 동양 사상을 지배한다. 어쩌면 앞으로도 2,500년 넘게 지배할지도 모를 일. 공자의 말은 흔히 공자 왈, 이라 하여 꼰대의 표상으로 여기는 이도 있으나 나의 소견으로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뛰어난 가르침임에 분명하다. 이 대단한 인물 공자를 우리 세대, 아니 우리 민족은 잘못 이해하고 곡해해왔으며 배척하기 바빴다. 공자에 대한 편견은 아마 기득권 유지를 위한 하나의 장치였을 터, 따라서 기득권을 놓으려는 이들은 없을 테니 단숨에 바로잡기란 힘들겠다.

 

 

서른 이전의 탄탄한 인생 준비는 미래 60년의 든든한 배경이 됩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요 평생학습의 시대라고 하는 판에 갑자기 닥친 코로나19로 세상은 뒤숭숭하기 그지없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진정한 앎이란 무엇일지, 미래를 향해 큰 걸음 떼어야 할 우리에게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순간 어떤 기준을 참고해야 할지, 삶의 고단한처럼 딱 붙어 떨어질 줄 모르는 근심 걱정을 줄일 방법은 무엇일지에 대해 최종엽 저자는 '공자에게 길을 묻는다'.
경영을 물으면 인간으로서의 참된 마음가짐을 기초로 깔고 대답하는 공자. 얼마 전 읽었던 "만화로 즐기는 논어"에서 느꼈던 바를 다시 한 번 느끼고 만다. 공자의 사상은 인본주의라는 것. 실행을 중시하고 옛것을 받들어 술이부작(述而不作)하고 온고지신(溫故知新)한 공자에게 인간의 척도는 인간이었다. 사람을 평가하는 기본 원칙은 사람의 속성 안에서 구해야 하니, 진리는 인간성에 기초한다고 말한 공자는 "세상에 나보다 못한 사람은 없다"라는 말로써 겸손을 세웠고 제자라도 훌륭히 해내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224개의 어구마다 공자어록의 원문, 음독, 기본 해석을 달고 의역하여 쉽게 읽을 수 있게 한 "공자의 말",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꼭 한 번은 깊이 새겨 읽어야 할 오래된 미래지혜다.

 


리딩투데이 지원도서입니다.
#공자의말 #최종엽 #읽고싶은책 #포스트코로나 #포스트코리아 #공자에게길을묻다 #동양철학 #인문학
#네이버독서카페 #독서놀이터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