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을 말해줘
이경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코드가 찍히지 않은 소원은 불량품? 소원을 말해줘







신화와 전설이란 그런 겁니다.
인간은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맞닥뜨렸을 때 상상력을 발휘합니다.
그런 터무니없는 이야기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도시 사람들 몸은 허물로 뒤덮였다. 티셀 바이러스 때문이었다.
정부는 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다국적 제약 회사의 기업도시로 지정했다.
방역 센터와 방역대를 만들고 T-프로틴을 공급하고 방역 지침을 발표했다.
정부는 허물 벗기기에 필요한 프로틴을 구매하는 데 지원금을 투입했지만
도시 기능 정상화 명목으로 곧 보조금 혜택을 없앴다.
허물이 있는 사람들은 하루 두 번 이상 복용해야 할 프로틴을 구매하기엔 가난했고
개인 등록카드에 허물이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일자리도 얻지 못했다.

 

 

 

 


파충류 사육사였던 그녀도 허물이 있었다.
산사태로 근무하던 동물원이 무너지고 야생동물들은 도시 곳곳으로 흩어진다.
그녀는 비단뱀을 찾아 D구역으로 간다.
풍토병을 앓듯 뱀의 허물 같은 각질에 둘러싸이는 증세로 격리된 사람들이 사는 곳.
그녀는 허물을 벗기 위해 방역 센터에 입소하고
거기서 전설 속 거대한 뱀 '롱롱'의 존재를 듣게 된다.
롱롱이 허물을 벗으면 세상의 모든 허물이 벗겨진다는 믿음이 떠돌고 있었기에
그녀는 폐허가 된 궁으로 뱀을 찾아 나서는데...




환상은 스스로 몸을 부풀려 엉뚱한 괴물이 될 수도 있어.




재난소설?
미안하다, 좀 약하다.
롱롱이는 몸이 90미터쯤 된다고 묘사됐는데
방역버스 세 대를 나란히 세웠을 때 거기 실린다.
물론 꼬리는 내려뜨리지만.
내가 잘못 읽었기를...

소설 "소원을 말해줘"는 거대 뱀에 의한 재난소설이 아니다.
인간의 탐욕이 얼마나 커다란 음모를 만들어내는가를 말하고 있다.
그런데 롱롱이의 존재감에 거대기업의 악랄함이 묻히는가 싶더니
롱롱이는 블루 증상만 두 번 보이고는 허물 벗기도 못한 채...

사람들을 억압하고 공포를 심어주는 거대기업의 횡포도,
기업의 음모를 입증하고자 기꺼이 자신의 몸을 임상실험 대상으로 내던진 개인의 숭고한 희생도,
샤머니즘스런 거대뱀, 이름도 긴 롱롱이한테 완패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